소비자나 금융기관의 유동성 위험, 외환거래 위험 등 불안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나친 쏠림현상이 가져올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는데 따른 대응책이다.
한은에 따르면 7월 기준 국내 거주자의 위안화 외화예금 잔액은 161억9천만달러로 1년전(2억9천만달러)보다 무려 56배나 급증했다.
전체 거주자 외화예금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 말 0.4%, 작년말 13.7%에서 올해 7월말25.9%로 높아졌다.
위안화 예금은 국내 예금금리가 3%를 밑돌면서 폭발적으로 늘었다. 공상·농업·중국·건설·교통 등 중국 5대 은행의 1년 정기예금 금리는 3.25%로 2% 초중반인 국내 시중은행의 평균금리를 압도한다.
여기에 위안화 강세까지 더해지면서 환차익을 노릴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부상했다.
게다가 위안화 예금은 단순 외화예금에서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등 구조화 상품이 등장하면서 매력을 더했다. 위안화 예금의 경우 대개 만기가 1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게 운용되는 ABCP로 단기자금이 모여든 것이다.
ABCP는 증권사들이 국내에서 영업 중인 중국계 은행의 위안화 정기예금에 가입하고 이를 담보로 해서 발행된다. 대개 중국 5대 은행 해외지점 위안화 예금이 기초상품으로 활용된다. 국내에 들어온 대형은행은 위기가 발생하더라도 중국 정부의 지원 가능성이 높아서 위험이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8월 한달간 위안화 예금 ABCP는 4조6,000억원에 달한다. 금리가 인하된 이후에만 2조8,000억원이 유입됐다.
금융감독원은 이에 따라 최근 위안화예금에 대해 위험요인이 없는지 다각적인 평가작업을 벌였다.
금감원은 국내 고객에 대한 불완전 판매 가능성에 대해서도 살폈으나 현재로서는 문제점을 지적할만한 정황은 없는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금융당국은 그러나 최근 환율변동성이 커지고 홍콩사태 등 중국경제를 둘러싼 변수들이 하나 둘 쌓이면서 긴장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