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80년 쓸 수 있는 원자로 만든다

우리나라가 오는 2020년까지 최장 80년을 사용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원자로 개발에 나선다. 한국수력원자력은 31일 대전 장동의 한수원 중앙연구원에서 ‘원전안전 결의대회’를 갖고 앞으로 10년동안 원전 선진국을 뛰어 넘는 원전기술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한수원은 앞으로 미국이나 프랑스, 일본 등의 원자로보다 최소 20% 이상 경제성이 뛰어난 원자로 건설에 나선다. 특히 원자로의 수명도 현재 개발된 우리나라의 수출주력 노형인 ‘APR1400’보다 20년이 긴 80년짜리를 개발키로 했다. 이와함께 대형 재난이 발생해도 지진규모와 관계없이 원전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술과 함께 전원이 끊어져도 작동되는 혁신적인 안전성 강화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한수원은 오는 2020년까지 매년 매출액의 6~7%에 달하는 총 6조원의 자금을 투입한다. 한편 이날 한수원은 한국전력의 전력연구원 108명을 한수원 중앙연구원으로 통합하는 등 연구개발 조직을 새롭게 정비해 원자력계의 ‘씽크 탱크’역할을 주도하기로 했다. 이날 행사에는 지식경제부와 교육과학기술부 등 정부 인사와 한국전력, 두산중공업, 현대건설및 원자력업계 등 주요인사 400명이 참석했다. 김종신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일본 원전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시키는 노력이 원자력계의 주요 임무로 떠올랐다”며 “이번에 새로 발족한 한수원 중앙연구원이 원전의 안전 관련 기술개발에 앞장설 수 있도록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