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민 울리는 중도상환수수료

시중은행 3년간 무려 1조20000억 징수

17개 국내은행이 최근 3년간 고객에게 징수한 중도상환 수수료가 무려 1조2,000억원에 달했다. 가뜩이나 주택담보대출에 허덕이는 서민들로서는 적지 않은 수수료를 거둬가는 은행들이 더욱 야속한 상황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송광호 의원(새누리당)이 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ㆍ국책은행 등 17개 은행은 2009~2011년에 중도상환 수수료로 1조1,880억원을 거둬들였다. 지난 2009년 3,654억원에서 2010년 3,834억원, 2011년 4,400억원으로 매년 늘었다.


송 의원은 대출을 조기에 갚더라도 은행은 상환금액으로 다른 대출계약을 맺어 이자수익을 올릴 수 있으므로 중도상환 수수료는 인지세와 제세공과금 등 대출채권 발생비용보다 높아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대출채권 발생비용은 대출액의 0.5% 내외로 추정된다.

그러나 은행들은 올해 기준으로 신용대출의 경우 최저 0.5%에서 최고 4.0%, 부동산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은 0.5~3.0%의 중도상환 수수료를 받고 있다.

금감원에 접수된 중도상환수수료 관련 불만 유형 중 30%는 과다한 수수료 청구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