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노벨 화학상 다니엘 셰시트먼

준결정 최초 발견


올해 노벨화학상은 준결정(準結晶)을 발견한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의 다니엘 셰흐트만(70ㆍ사진) 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5일 셰흐트만 교수를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공식 발표했다. 위원회는 "셰흐트만의 준결정 발견이 고체물질에 대한 이해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고 선정배경을 설명했다. 지난 1982년 셰흐트만이 최초로 발견한 준결정은 액체와 고체의 중간성격을 가진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결정은 원자가 같은 형태를 반복하며 이뤄지는 것으로 여겨져왔으나 셰흐트만은 특정 무늬가 반복되지 않는 준결정을 세계 최초로 발견해 학계에 논란을 일으켰다. 셰흐트만의 발견 이후 다양한 형태의 준결정이 발견돼 그의 연구에 힘을 실어줬다. 위원회는 "당시 그의 발견은 기존의 견해와 대립되는 주장으로 대단히 많은 논란을 낳았으나 셰흐트만은 결국 자신이 옳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셰흐트만에게는 상금 1,000만크로네(17억원)가 지급되며 시상식은 오는 12월10일 스웨덴 스톡홀롬에서 열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