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색·형태·움직임으로 표현한 '4차원 조각'

리움 '모빌의 아버지' 알렉산더 칼더 회고전<br>모빌·스태빌서 드로잉·회화까지 전 생애 걸친 110여 작품 선봬

칼더 말년의 대표작 '거대한 주름' . /사진제공=칼더재단

"예전에 나는 밑그림을 끝내고 조각을 만들었지만, 이제는 여러 모양의 철판을 자르며 작업을 시작한다. 다양한 모양의 철판들을 배열하고 철사로 엮어 전체적인 형태를 갖추고 마지막으로 이 철판들을 절단기로 조금씩 더 잘라서 딱 한군데 존재하는 무게중심을 찾아 균형을 맞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기에 모빌은 그저 움직이는 납작한 물체의 연속에 지나지 않지만, 다른 일부에게는 어쩌면 시와 같은 것일 수도 있다."

20세기 조각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미국 작가 알렉산더 칼더(1898~1976)는 '모빌의 아버지'로 유명하다. 그가 모빌에 대해 남긴 말은 단순한 조각의 형태가 아니라 궁극의 미학을 찾아내기 위한 예술가의 집념과 애정의 산물이라는 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삼성미술관 리움이 알렉산더 칼더의 국내 역대 최대 회고전 'Calder 움직이는 조각 알렉산더 칼더'를 18일부터 10월 20일까지 연다. 삼성미술관 리움과 뉴욕 칼더 재단이 전시를 기획했다. 작가의 대표작이며 현대 조각 최고의 혁신 중 하나인 모빌과 스태빌은 물론 초기 중요작인 철사조각과 회화, 드로잉 등 칼더의 전 생애에 걸친 110여 작품이 한자리에 모인다.

관련기사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조각가이고 어머니가 화가인 미술가 집안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형성된 예술적인 환경 속에서 미술을 접하며 자랐다. 대학은 실용적인 스티븐슨 공대를 선책했지만 졸업한 후 결국 잠재된 자신의 소질을 따라 뉴욕아트스튜던트리그(Art Students League)에 입학하고 예술가로 전향한다.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잠재된 예술적 천재성을 발휘하며 역동적인 서커스 장면들을 스케치하고 뉴욕의 동물원을 다니며 여러 동물의 움직임을 포착해 다수의 스케치를 남겼는데 이는 이후 칼더 예술의 중요한 밑바탕이 된다.

1930년 칼더는 몬드리안의 작업실 방문을 계기로 추상적인 조각, 즉 '움직이는 추상'을 시도하게 된다. 마르셀 뒤샹이 이름 붙인 움직이는 '모빌'과, 아르프가 이름 붙인 정적인 '스태빌(stabileㆍ정지된 조각의 총칭)'의 탄생이다. 칼더는 크랭크와 모터를 사용해 실제로 움직이는 첫 작품을 제작했고, 1932년에는 모터를 떼고 작품을 공중에 매달아 저절로 움직이는 작품을 시도하면서 색상, 형태, 움직임에 공간과 시간을 더한 4차원 개념의 새로운 조각을 창시한다. 조각을 양감과 좌대에서 해방시킴으로써 조각사의 패러다임을 바꾼 칼더의 대표작 '모빌'과 '스태빌'은 자신의 예술적 재능과 현대미술의 영향, 공학적 지식이 조화를 이루며 탄생한 20세기 최고의 혁신적인 조각으로 평가 받고 있다. 1958년 파리 유네스코를 시작으로, 1967년 몬트리올 박람회, 1969년 미시간 주 그랜드 래피즈 등 공공 장소에 기념비적 조각을 선보이면서 미국 내 공공 조각을 활성화하고 공간에 활력과 리듬을 부여하는 노력을 지속한다.

이번 전시는 뉴욕현대미술관,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휘트니미국미술관, 미국 워싱턴 D.C. 내셔널 갤러리, 호노룰루미술관, 파리 퐁피두센터 등 해외 유수 미술관에서 대여한 작가의 전 생애에 걸친 작품들을 한 자리에 선보이는 뜻깊은 자리다. 또한 말년의 대표작인 '거대한 주름(Grand Crinklyㆍ1971년작)', 빨간 치즈를 연상하게 하는 '무제(1976년작)'가 야외 공간에 설치, 모빌에 한정돼 있던 칼더의 예술 세계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