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급증하는 단기 대외부채 규제 강화… 현금화 쉬운 '안전자산' 확보 독려도

[벼랑끝 내몰린 美 부채협상] <br>■ 국내 금융당국 움직임은


유럽 재정위기에 이어 미국 디폴트 가능성이 부각되자 금융당국이 사태 추이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일단 최근 급증하는 단기 대외부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금융권의 외화 유동성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해외발 돌발변수에 대비해 즉각 현금화 가능한 미국 국채를 포함한 '안전자산' 을 확보하도록 연일 독려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25일 첫 거시경제협의회를 열고 물가 대응책과 더불어 해외 리스크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26일 예정인 물가대책에 비중을 두겠지만 미국과 유럽 등 해외발 악재에 대한 당국의 대응수위와 금융권의 리스크 대비 태세를 점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최근 은행권과 공동으로 금융기관 외화유동성 특별점검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12개 시중은행의 외화유동성 점검에 나선 상황. 금융위는 지난 22일 열린 TF 첫 회의에 이들 은행의 자금담당 부행장들을 불러 국제적인 불안요인에 대비해 전반적인 외화유동성 상황을 점검하고 위기 대응책을 강화하도록 주문했다. 금융감독 당국은 외화유동성 점검을 통해 외환 부문의 '스트레스 테스트(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한 모의실험)' 기준을 상향 조정해 대비할 것을 요구했다. 아울러 은행들이 외화 안전자산과 '외화 커미티드라인(마이너스대출 성격의 금융회사 간 단기 외화차입선)'을 더 많이 확보하라고 주문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미국 실업률이 올라가고 주택경기가 나빠지면서 미국발 리스크는 점점 더 커지는 형국"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 수장의 발언에서도 대외발 리스크에 대한 언급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23일 영등포역 근처 노숙인 복지시설 '옹달샘 드롭인센터'에서 봉사활동을 마치고 "올해 외환건전성 문제를 최우선으로 두겠다"고 밝혀 금융정책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외환건전성을 꼽았다. 앞서 김중수 한은 총재는 22일 9개 시중은행장을 불러 "위기를 사전에 예방하려면 고통이 따른다"고 강조했다. 정부 관계자는 "유럽 위기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기도 했지만 미국의 재정 문제가 현실화될 가능성에 위기의식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