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원전 확대 백지화… 가스·태양광·풍력주 활짝

가스공사·OCI 4~6% 급등<br>한전기술 등 원전주는 급락


정부가 원자력 발전 비중을 축소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에너지주와 원전 관련주의 희비가 엇갈렸다.

한국가스공사는 1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6.54% 오른 6만1,900원에 마감했다. 지난 13일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민관워킹그룹이 2035년 원전 비중(설비용량)을 제1차 계획(2008~2030년)에서 목표치로 설정한 41%보다 훨씬 낮은 22~29% 범위에서 결정토록 권고한 가운데, 가스 수요가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윤희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원전 비중 축소는 가스비중이 높아진다는 것이며, 이는 가스공사가 설비투자를 확대하고 가스 수입을 늘릴 수 있는 명분이 된다”며 “정부의 정책 변경으로 투자가 늘어나는 만큼 가스공사가 제2의 성장기를 누릴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민자발전 관련주인 지역난방공사(3.91%), 삼천리(1.87%), 인천도시가스(1,32%)도 강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대체 에너지 관련 종목도 상승했다. 태양광 관련주인 OCI(4.34%)와 한화케미칼(4.58%)이 4% 넘게 올랐고, 오성엘에스티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풍력주인 용현BM과 현진소재도 가격제한폭까지 올랐고, 태웅 역시 10.79%의 급등세를 나타냈다.

반면 원전 관련주인 한전기술이 하한가를 기록했고, 우진(-8.39%), 두산중공업(-6.29%), 한전KPS(-4.47%) 등도 약세를 보였다.

한편, 이번 이슈가 한국전력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이라는 분석이다. 윤 연구원은 “앞으로 현재 수준의 원전비중이 유지된다는 것은 한전의 원가부담이 줄어들기 어렵다는 의미(발전믹스 개선이 어렵다는 의미)”라며 “한전 입장에서는 원전의 사후처리 비용과 송전선로 주변지역 보상 등의 사회적 비용도 전기요금에 단계적으로 반영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요금 반영이 적기에 이뤄진다면 정책 변경이 한전에 불리할 이유가 없지만,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즉각적인 요금 반영은 불투명하다는 게 윤 연구원의 설명이다. 한국전력은 이날 1.71% 오른 2만9,750원으로 마감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