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계부채 리스크 줄것… 금리 상승폭은 제한적"

'하반기 금융시장 전망' 5대 시중은행장에 들어보니…<br>"국제 금융 고비 넘겼다" "위기 재연 가능성" 갈려<br>"국내선 질적 성장 경영 해외진출엔 좀 더 박차 "


국내 시중은행장들은 올 하반기에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이 효과를 발휘해 '가계부채 리스크'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또 하반기 시중금리는 기준금리의 추가 인상으로 상승 추세가 불가피하지만 그 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금융시장 전망을 두고서는 '고비를 넘겼다'는 의견과 '위기가 재연될 수 있다'는 분석으로 갈렸다. 국민ㆍ우리ㆍ신한ㆍ하나ㆍ기업은행 등 5대 시중은행장은 최근 서울경제신문이 긴급 실시한 '하반기 금융시장 전망'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가계부채 대책 "효과 있을 것"=은행장들은 정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가계부채 대책이 가계대출의 증가 추세를 완화시키면서 '가계부채 위험(리스크)'도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민병덕 국민은행장은 "가계부채 대책의 기본 방향이 가계대출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하고 이에 따른 리스크를 축소하는 데 맞추고 있다"면서 "실질적인 리스크 감소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진원 신한은행장과 김정태 하나은행장, 조준희 기업은행장도 표현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가계대출 리스크의 연착륙'에 무게를 둔 분석을 내놓았다. 이순우 우리은행장도 같은 의견을 내놓았지만 "정책 추진 과정에서 소비자가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만큼 전반적인 국내 경제의 안정화가 함께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금리, 완만하게 상승할 듯=은행장들은 앞으로 정부가 기준금리를 1~2차례 더 올릴 것이라는 데는 공감했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 상승은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그 속도는 제한적이지 않겠느냐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민 행장은 "국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많아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지속돼 금리상승 속도는 완만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 행장도 "올해 말 기준금리를 대략 3.50~3.75%로 예상한다"면서 "금리인상 압박요인은 있겠지만 대외 불확실성, 가계부채 문제, 정부의 물가대책 등으로 그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답했다. 조 행장은 "금리 정상화 기조는 하반기에도 유지될 것"이라면서도 "국내채권 수요가 시장금리의 상승폭을 제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금융시장 '고비 넘겼다vs금융위기 재연 가능'=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그리스 등 유럽의 재정위기 현실화 등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불안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렸다. 큰 고비를 넘겼다는 시각이 있는 반면 일부 은행장들은 최악의 경우 금융위기가 재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답했다. 민 행장과 서 행장 등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위기'보다는 '제한적인 안정'에 무게를 뒀다. 불안요인은 있지만 글로벌 경제의 성장흐름을 크게 훼손할 정도는 아니라는 얘기다. 이 행장과 김 행장, 조 행장은 '불안감'에 방점을 찍었다. 미국보다는 유럽의 상황을 좋지 않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 행장은 "그리스 재정위기는 다소 완화됐지만 디폴트(채무불이행)가 현실화될 경우 지난 2008년 리먼 사태 수준의 금융위기 재연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답했고 조 행장은 "그리스 외 채무가 많은 유럽 국가들의 재정문제가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설명했다. ◇'국내는 질적 성장, 해외는 외형 성장'=국내외 경제변수가 유동적인 만큼 은행장들은 "내실위주의 경영을 펼칠 것"이라면서도 "질적인 성장, 차별적인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해외진출에는 좀 더 박차를 가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 행장은 "하반기에 일본 오사카지점 개점, 인도 뭄바이, 베트남 하노이에도 사무소 개설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행장은 "올해 중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점 신설, 인도 첸나이 사무소 지점 전환, 브라질 상파울루사업소 법인전환, 호주 시드니 지점 신설 등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서 행장은 "일본ㆍ베트남ㆍ중국ㆍ인도 등 주력시장은 3~5년 내 의미 있는 성공을 위해 자원 및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행장도 "아시아벨트 완성을 위해 중국ㆍ인도네시아에 인접한 동남아시아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베트남 호찌민의 지점 전환은 물론 인도 뉴델리 사무소의 지점 전환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조 행장은 "중국은 올해 말까지 지점을 10개로 늘리고 베트남은 호찌민 외 하노이 사무소도 지점을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