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등소평 사망­대중투자·수출 어떻게 달라질까

◎“일시 위축… 장기적 영향없다”/8년전부터 후계구도, 한중경협도 안정기 진입/재계 “개혁·개방이 대세… 큰악재 되지않을것”중국의 최고 실권자인 등소평의 사망이 우리기업의 대중투자 및 교역과 현지 진출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대한 국내 관계자들의 결론은 「일시적으로 위축,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재계의 이같은 전망은 등이 이미 8년전부터 후계구도를 다져왔고 그동안 한중간의 경제협력 관계도 안정기에 접어 들어 일시적 진통을 거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정상궤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는데 따른 것이다. 특히, 등이 주도적으로 추진해 온 개혁과 개방정책의 기조는 이미 중국내에서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굳어졌기 때문에 이를 역류시키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국내업계 및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장행복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상해무역 관장은 『중국의 개혁과 개방정책 바람은 어느 누구도 막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대중국 수출과 투자에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에 13개의 투자자회사를 운영하면서 현지시장 공략을 주도하고 있는 (주)대우의 박태준 중국팀장은 『등소평의 사망이 중국과의 경협에 큰 악재가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방식대로 대중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등의 사망에 따른 일시적인 혼란에도 불구하고 대중투자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삼성물산의 중국팀 관계자도 『등의 사망설은 이미 오래전부터 나왔고, 그런 상황을 대비해 사전정지작업을 충분히 해왔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중국에 대한 투자나 교역이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건설업계의 경우도 중국의 실권자 등소평 사망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동국가나 아시아 일부 국가처럼 국왕이나 왕실가족 등 특정 실세의 힘을 빌려 공사를 수주한 것이 아니라 자치주 정부나 국영부동산회사가 발주한 공사를 수주한 형태를 띠고 있어 투자리스크는 없다는 것이다. 또 중국이 정치적 대변혁없이 현재와 같은 개방정책 노선을 견지할 것으로 예상돼 건설업체의 중국진출 타격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고 오히려 9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 인프라 등 기간산업에 대한 외국 투자유치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건설업체들이 중국에서 시공중인 공사는 37건으로 계약액은 19억8천9백만달러 규모다. 지금까지 국내 업체들이 중국에서 수주한 공사는 모두 56건에 22억8천만달러로 수주액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에는 22건 6억7천8백만달러어치 공사를 수주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진로건설이 지난 94년 5억달러에 수주한 해남도 하키키해변 개발 토목공사로 국내 건설업체가 중국에서 수주한 단일공사로 가장 큰 규모다. 이 공사는 미국 부동산개발회사가 발주한 공사여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진로측은 밝혔다. 또 현대건설은 대련 희망빌딩공사, 북경 현대센터 건립공사 등 4건에 3억3천2백만달러 상당의 공사를 수행중이며 LG건설은 북경에 3억달러 상당의 빌딩 건설공사를 시공중이다. 대우는 2억달러에 수주한 북경 갈릴리 세계무역광장공사 등 2건을 맡고 있다. 이밖에도 한라건설이 상해 경은대하빌딩공사 등 9천7백만달러 상당의 건축공사를 맡아 시공중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절대적인 권력을 갖고 있던 등의 사망으로 일시적인 혼란이 오지 않겠느냐는 시각도 많다. 이럴경우 침체된 우리경제의 활력소로 큰 기대를 모아온 대중투자와 교역이 위축, 우리경제에 어느정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무공의 한 관계자는 『개방의 틀은 손대지 않아도 개방의 속도와 폭은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난 93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거시경제적 정책목표 관리를 내세운 긴축정책기조가 등의 사망으로 당분간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하고 『사회불안심리와 함께 지금까지 등이 추진해온 개방정책이 위화감을 조성해온 만큼 경제정책방향이 다소 수정될 가능성도 높다』고 분석했다. 중국 현지에서 유통센터, 전자·화학합작회사 등을 설립·운영하는 LG그룹의 중국담당 임원도 『그동안 중국과의 교역이나 이미 진출해 있는 사업에는 포스트 등에도 별 차질이 없겠지만 중화학, 건설 등의 대규모 대중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선뜻 결정하기에는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과정에서 재계가 우려하고 있는 또 다른 문제는 대중투자의 적기를 놓치면서 투자비가 늘어나는 이중부담의 가능성이다. 현재의 중국은 부동산가격·인건비 등이 계속 상승, 투자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 만큼 대중투자나 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들은 중국내 정정이 불안해지면 투자시기를 놓치지 않을까 염려스럽다는 것이다. 대중투자를 늦추면 늦출수록 투자비 부담이 늘어나 국제경쟁력을 상실할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단순노동력 중심의 경공업제품은 외국업체들의 진출 및 중국 자체의 생산확대에 따라 투자환경이 좋은 지역에서는 이미 투자시기를 놓쳤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재계는 또 중국당국이 진출외국기업에 대해 자국내 개발이 뒤진 곳에 투자를 유치하는 지역안배정책을 펴고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있는 것도 주목하고 있다. 김홍지 무공북경무역 관장은 『중국정부가 성장의 지역적 안배 차원에서 그동안 소홀히 해온 내륙지역의 개발을 위해 우리기업들이 집중적으로 투자한 발해만지역을 비롯, 연해지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을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당분간 투자부문에서는 내부관리에 전력하고 교역에서는 관련 허가사항과 가격의 적절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진갑·유찬희>

관련기사



유찬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