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동층 의사 반영할 새 투표방법 없나요"

후보 기호 없는 빈칸 도입등 SNS 등 통해 대안으로 거론<br>"정당정치 근간 무너질 수도" 정치권·학계는 회의적 반응


"부동층 의사 반영할 새 투표방법 없나요" 후보 기호 없는 빈칸 도입등 SNS 등 통해 대안으로 거론 이수민기자 noenemy@sed.co.kr 투표하지만 나경원·박원순 둘다 찍기 싫다면… 치명적 새 투표방법 제시에 정치권 '뜨끔' "정당정치 근간 무너질 수도" 정치권·학계는 회의적 반응 "투표는 하고 싶지만 뽑고 싶은 사람이 없다는 의사 또한 반영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서울 동작구에 거주하는 안모(33)씨는 26일 실시되는 서울시 보궐선거에 대한 투표의사를 묻는 질문에 "시민으로서 내 한 표를 버리고 싶지는 않다"며 "네거티브전으로 치닫는 두 후보를 보고 있자면 어느 쪽이 되도 만족하기는 어렵다"고 착잡함을 토로했다. 20대 최모씨도 "투표용지에 후보자들 외에 빈 칸이 하나 더 있었으면 좋겠다"며 "아무것도 없는 빈칸에 투표 참석 여부만 찍고 나오면 안 되나"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적지 않은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러 가야겠지만 딱히 마음에 드는 사람은 없다'는 고민을 하고 있다. 이른바 '부동층'이다. 부동층은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새로운 투표 방법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현행 방식의 투표로는 부동층의 숨겨진 '진의(眞意)'를 반영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 투표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투표란에 기호 없는 빈칸 등을 도입하는 방안 등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일단 기존 정치권에서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정당의 존립 기반에 치명적인 아킬레스건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당이 내세운 후보보다 '빈 칸'에 더 많은 표심이 몰릴 경우 정당의 존재 이유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학계도 난색을 표하고 있다. 자칫하면 참여민주주의 골간으로 자리매김한 정당 정치의 뿌리가 무너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서울 소재 모 대학의 한 교수(정치외교학과)는 "후보자 A나 B가 아닌 그저 거부의 뜻을 담는다면 다른 칸과 동일하지 않은 값이 매겨지기 때문에 '빈 칸'을 두는 것은 불공정하다"며 "일견 그럴 듯해보이는 논리지만 아무도 선택하지 않는다면 다시 선거를 해야 한다"며 반대의 뜻을 밝혔다. 그는 "어차피 부동층에 선거는 후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악을 뽑는 것"이라며 "기존 후보가 싫다면 정당을 새로 만들어 후보를 내야 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정치컨설턴트 이모씨는 이러한 '빈칸' 주장이 제기된 현상에 대해 "마음에 드는 사람이 없을 때는 선거를 아예 하려 하지 않았던 예전과 달리 참여할 의지가 높아졌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지만 모든 유권자가 만족할 수 있는 선거 방식의 틀을 찾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판 커지는 서울시장 선거… 대체 무슨 일 있었기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