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대출 6,700억'모뉴엘 파산...금융권 손실 불가피

9일 법원이 중견 가전업체 모뉴엘에 파산 결정을 내리면서 모뉴엘에 수천억원대의 여신이 물려 있는 은행권의 손실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에 따르면 모뉴엘이 법원에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기 직전인 지난 9월말 기준 모뉴엘의 전체 은행권 여신은 6,768억원에 달한다.


대출금은 수출대금을 조기 융통하기 위한 수출환어음 매입 등 무역금융이 큰 부분을 차지했고, 시설자금과 운전자금 명목으로 빌린 돈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은행이 모뉴엘 수출환어음에 대한 결제를 연체하자 무역보험공사가 지난 10월 각 은행에 모뉴엘의 수출채권매입을 중단하라고 통보하면서 모뉴엘 사태가 불거졌다.

모뉴엘 여신은 기업은행이 1,508억원으로 가장 많고 산업(1,253억원), 수출입(1,135억원) 외환(1,098억원), 국민(760억원), 농협(753억원), 기타(261억원) 순이다.

이 가운데 담보가 설정된 대출은 총 3,860억 수준이나,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도 2,908억원에 달했다.

이날 법원이 파산 선고를 함에 따라 재판부가 선임한 파산관재인의 관장 아래 각 채권기관에 모뉴엘의 자산을 분배하는 절차가 진행될 전망이다.


모뉴엘의 제주 사옥 등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실행한 은행은 향후 경매 절차 등을 통해 대출금 회수에 들어갈 수 있다.

관련기사



그러나 담보 대출 중에서 2·3순위 담보권으로 실행된 대출들이 있어 채권 회수율은 더욱 떨어질 수 있다.

무역보험공사(무보)의 무역보증을 담보로 실행된 담보대출분도 무보와 은행권이 부실책임을 둘러싸고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어 법정 공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담보를 설정한 기관에 우선변제권이 있는 만큼 신용대출분은 변제 가능성이 낮을 전망이다.

수출입은행은 여신 전액(1,135억원)을 담보 없이 빌려줘 신용대출 규모가 가장 컸다. 산업은행은 499억원, 기업은행은 453억원이 신용대출이다.

법원이 채권신고기간을 내년 2월 27일까지로 정해 구체적인 채권 규모는 이 시기가 돼야 정확히 집계될 전망이다.

대부분 채권 금융기관은 3분기 결산에 모뉴엘 사태에 따른 피해액을 충당금으로 적립했으나, 손실규모와 변제순위 등이 정해지면 충당금 규모는 추가로 늘어날 여지가 있다.

모뉴엘은 로봇청소기와 홈시어터 PC 등으로 급성장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2007년 CES 기조연설에서 주목할 회사로 지목해 지명도를 높이기도 했다.

대출과 보증심사 과정에서 무보와 수출입은행 일부 임직원이 모뉴엘로부터 뒷돈을 받은 정황까지 포착돼 검찰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