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대기업 계열사 공공SI사업 제한 "PMO<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오피스>시장 외국계만 어부지리"

국내 대형 IT업체 발묶이고 중소기업은 규모·인력 한계<br>고수익성 사업 내줄판<br><br>액센츄어ㆍIBM등 외국계 기업들 SI사업 전체 '장기 컨설팅'하는 'PMO' 사업에 주목<br>국내 기업들 "당초 취지와 달리 국내 중소기업 아니라 외국계만 수혜…쏠림 현상 막아야"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대기업 계열사의 공공 정보기술(IT) 사업 제한 계획과 관련해 "외국계 기업만 수혜를 보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기업 계열사가 빠지는 자리에 중소기업이 들어서려면 중간에서 통제ㆍ관리하는 사업자가 필요한데, 결과적으로는 규제에서 자유로운 외국계 기업들이 그 역할을 독점하고 상당한 수익을 얻을 것이란 지적이다. 9일 업계에서는 앞으로 확대될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시장을 액센츄어나 IBM, HP 등 외국계 기업들이 주로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PMO는 수백ㆍ수천억원 규모인 대규모 IT서비스 사업 전반을 기획ㆍ통제ㆍ관리하는 일종의 컨설팅 사업으로, 지난달 정부가 대기업 계열사들의 공공 시스템통합(SI) 사업을 제한하는 대신 중소 IT서비스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키로 함에 따라 시장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이 같은 PMO 사업은 자연스럽게 외국계 기업들에게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는 계 업계의 관측이다. 대규모 IT 시스템 구축 등을 관리하려면 역시 상당한 사업 규모와 인력 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SI사업 참여 자체를 제한받는 삼성SDSㆍLG CNSㆍSK C&C 등 국내 IT서비스 업체들로서는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PMO 시장에 손을 뻗치기도 곤란한 상황이다. 최악의 경우 대기업 IT서비스 계열사들은 시장을 잃고 외국계 기업들만 새로운 시장을 얻고 중소 기업들은 여전히 한정된 수준의 사업에만 만족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한국IT서비스협회 관계자는 "PMO는 외국계 기업들도 쉽게 못 하는 사업"이라며 "중소기업이 당장 배워서 하기엔 무리"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지식경제부 등은 "행안부와 PMO 자격기준을 마련하고 있다"며 "취지에 맞게 중소기업이나 자격 있는 개인도 참여할 수 있게 해 내년부터 천천히 적용할 계획"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외국계 사업자에 대한 PMO 자격 제한은 없어 우려의 여지는 남아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지경부가 PMO가 뭔지조차 잘 모르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들려온다. 한국IBM 관계자는 "아직 PMO 분야와 관련해 정해진 건 없다"며 "워낙 여기저기서 반대가 거세 뚜렷한 입장을 내놓기 힘들다"고 밝혔다. PMO 시장 규모는 정확히 집계되지 않고 있지만 한 업계 관계자는 "한 건당 규모가 크다"고 전했다. 보통 열 명 정도가 팀을 꾸려 연 단위로 PMO 사업 한 건을 맡는데, 인건비가 팀원 한 명당 월 수천만원에 달하는 수익성 높은 사업이라는 설명이다. ◇용어설명: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란 = 말 그대로 프로젝트별로 팀을 꾸려 프로젝트 전체를 기획ㆍ관리하고 지휘하는 사업. 주로 규모가 큰 프로젝트를 담당하며, 단순한 컨설팅과 달리 사업의 발굴ㆍ기획부터 사업자 선정, 진행ㆍ감독, 사후 관리까지 주로 1년 이상씩 이어진다. 예를 들어 정부 업무 중에서 효율성이 낮은 부분을 발견해 효율화를 위한 IT시스템 구축을 제안하고 발주와 사업자 선정, 사업 상황 관리 등을 모두 맡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