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못믿을 렌털 정수기… 가정집 2곳 중 1곳 먹는 물로 부적합

서울시 특사경 100곳 수질 검사

일반 가정집의 렌털(대여) 정수기에서 나온 물을 검사해보니 절반은 마시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돗물이 정수기를 거치면서 되레 못 먹는 물로 바뀐 셈이다.


서울시 특별사법경찰은 가정집 100곳의 렌털정수기 수질을 검사한 결과 53건이 관리 소홀로 인해 마시는 물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검사 대상 가운데 한 곳은 먹는 물 기준치의 최고 110배를 초과하는 세균이 검출됐고 2곳은 총대장균군이 나왔다.

관련기사



특사경은 수질검사를 희망하는 가정을 직접 찾아가 물을 받아온 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으로 보내 검사를 진행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렌털 업체가 수질 검사를 엉터리로 했는지, 각 가정의 관리가 잘못됐는지는 이번 조사만으로는 알 수 없다"며 "오염된 물을 어린이나 노약자가 먹을 경우 설사나 장염을 앓을 수 있다"고 말했다.

목욕탕이나 숙박업소처럼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의 정수기 물은 법에 따라 수질검사를 받아야 하지만 가정집 정수기 물은 법의 관리에서 벗어나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정수기 물 수질 관리를 위해 렌털 정수기 판매 영업자에 대한 지도ㆍ감독을 규정하는 법 개정을 환경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환경부 관계자는 "수돗물은 이미 먹어도 되는 상태로 가정에 공급되기 때문에 가정용 정수기 수질 관리를 위해 법 개정까지 할 필요성은 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서울시 특별사법경찰은 찜질방과 사우나 등 대형 목욕탕 52곳에 대한 음용수 수질검사도 진행했으며 먹을 수 없는 물을 제공한 16개 업소(전체의 31%)를 적발해 각 자치구에 행정처분 명령 조치를 의뢰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