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창조경제와 전기차 산업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창조'라는 단어가 화두로 되고 있다. 모든 산업계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고심하고 있는 형국이다. 전기자동차는 자동차산업에 있어 창조경제를 실증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전통적인 기계산업인 자동차에 첨단 정보기술(IT)산업이 융합되도록 패러다임 시프트(paradigm shift)를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내연기관 자동차에 장착되고 있는 전자제어기(ECUㆍElectronic Control Unit)는 각 모듈마다 엔진 제어기, 바디제어기, 계기판제어기 등이 독립적으로 설치돼 있지만 전기차 패러다임에서는 하나의 주 제어기(master controller)와 다수의 종속 제어기(slave controller)로의 혁신적 변경이 가능하다. 화석 연료는 과도한 엔진제어 부담으로 인해 주-종 제어 구성이 불가하지만 엔진제어 부담이 적은 전기자동차에 있어서는 패러다임이 바뀌게 된다. PC 제어나 일반 산업계 제어방식인 주-종(master-slave) 제어 방식 도입으로 고가인 전자제어기의 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제어 소프트웨어도 PC 환경 기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게 돼 내연기관의 폐쇄형 프로그래밍에서 개방형 전기자동차 프로그래밍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처럼 전기자동차는 자동차 제어 측면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 측면에서도 중소ㆍ벤처 개발자에게 PC기반의 오픈 플랫폼을 제공해줄 수 있다.

관련기사



또한 전기자동차는 온라인 접속 개념을 자동차에 적용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가 충전기에 접속되는 순간부터 충전망(smart grid)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 원격 진단, 인터넷 차계부, 정비소를 방문하지 않더라도 각종 사용자 관련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갱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이 실현된다면 문자 그대로 'connected'된 자동차도 실현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전력망부터 인버터ㆍ컨버터ㆍ배터리 등 부품 및 나노 테크놀로지(NT)를 활용한 경량화 소재까지 전기자동차 산업이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충분한 토양을 갖추고 있다. 기름진 토양 위에 전기자동차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심고 뿌리내릴 수 있도록 관련 산학관의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