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중일 바둑 영웅전] 그것은 필연이었다

제3보 (32∼42)



흑33으로 반발한 수가 멋지다. 제자리에서 살아 버리겠다는 작전이다. 여기서 과감히 손을 빼고 백34로 엉뚱한 곳을 헤딩한 것은 무슨 뜻일까. "축머리지요."(목진석) 이게 웬 떡이냐 하고 흑35로 37의 자리에 받았다간 대형사고 발생이다. 백이 33의 오른쪽에 모는 축이 성립하는 것이다. 이창호의 흑35는 축머리를 예방한 수순. 하지만 이세돌이 실전보의 백36과 38로 계속 버티자 더 받지 못하고 흑39로 손질을 했다. 좌상귀의 실리는 흑의 손에 돌아갔지만 백은 42로 기분좋은 빵때림을 얻어냈다. 여기까지가 쌍방 최선이고 필연이었다고 한다. "축머리 작전을 쓰지 않고 백이 좌상귀에서 다른 방식으로 수습하는 길은 없었다는 얘긴가?"(필자)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좋은 그림이 도무지 나오질 않아요. 역시 실전의 진행이 필연이었던 모양입니다."(윤현석) 백34로 참고도1의 백1에 모는 강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은 그 코스가 백의 모험일 것이다. 흑10까지(9는 7의 아래 이음)가 예상되는데 이 결과는 흑이 두터운 외세를 얻어냈으므로 일단 대만족이다. 게다가 나중에 기회를 보아 A로 젖히는 통렬한 수단까지 있다. 그것이면 큰 패가 나는데 그 패를 방지하려면 백이 언제이고 한 수 손질을 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렇다고 참고도1의 백3으로 참고도2의 백1에 몰면 어떻게 될까. 흑은 2 이하 8로 두어 대만족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