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영준 사면초가

파이시티 의혹 2일 대검 출두<br>불법사찰·CNK 주가조작 사건<br>서울중앙지검도 곧 소환할 듯

검찰이 박영준(52) 전 지식경제부 차관의 파이시티 로비 의혹 수사를 계기로 CNK인터내셔널 주가조작 사건과 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 수사까지 가속 페달을 밟기 시작했다.

1일 CNK 주가조작 사건과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우리 수사는 아직 부를 단계가 아니다"라면서도 소환 방침을 부인하지 않았다.


지난달 25일 대검 중수부와 합동으로 박 전 차관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던 금융조세조사3부는 당시 압수수색 과정에서 CNK주가조작 수사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팀은 사건의 열쇠를 쥐고 있는 오덕균(46)CNK 대표가 카메룬으로 도피하며 난관에 부딪혔지만 박 전 차관에 대한 중수부 수사가 속도를 내며 반사이익을 볼 수 있는 위치가 됐다.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특별수사팀도 박 전 차관이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으로 근무하던 당시 공직윤리지원관실의 감찰 내용 등을 보고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대검찰청 중수부(최재경 검사장)는 파이시티 사업에 참여했던 건설 브로커 이동율(61ㆍ구속)씨로부터 지난 2005년부터 수 차례에 걸쳐 박 전 차관에게 수억원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2일 소환되는 박 전 차관을 상대로 인허가 과정에서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또 지인의 계좌를 이용해 자금을 세탁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중수부 관계자는 이날 "박 전 차관의 소명을 듣고 추가적으로 조사가 필요한 지를 판단할 것"이라며 "지금까지 나온 계좌추적 결과와 진술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사법처리 수위와 방향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박 전 차관의 혐의 초점을 알선수재에 맞추고 수사를 진행 중이지만 뇌물수수 혐의도 적용할 수 있는 지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파이시티의 인허가 업무를 담당했던 서울시 도시계획국 등 관련 부서의 국장급 공무원들도 불러 박 전 차관의 부당한 영향력 행사가 있었는지 집중적으로 살펴봤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