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영진 곧 파견… 조업정상화 주력”/김만제 회장 인터뷰

◎“「3자회의」 누가 소집했나”에 “노코멘트”/위탁경영자 변경 TJ발언과는 관계없다김만제 포항제철회장은 『빠른 시일안에 위탁경영진을 한보철강에 파견해 조업을 정상화시키고 경영을 최대한 지원하는 한편 공장완공을 앞당길 방침』 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김 회장과의 일문일답이다. ­지난 3일까지만 해도 박득표 전 사장의 위탁경영인 선임이 확정적이었는데 갑자기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 ▲당초 채권은행단으로부터 위탁경영을 요청받았을 때는 퇴임임원으로 관리단을 구성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은행들이 『특정개인에게 의존할 경우 채권회수 등에 문제가 있다』며 포철의 개입을 강력하게 요청해와 지난 3일 한승수 경제부총리 및 안광구 통산부장관과 만나 이 문제를 논의했다. 박 사장도 줄곧 사양해 왔다. ­박태준 전 회장의 최근 발언과 관계가 없다는 말인가. ▲전혀 무관하다. ­그렇다면 포철의 직접개입이 결정된 지난 3일 경제부총리 및 통산장관과의 3자 회의는 누가 소집한 것인가. ▲노코멘트다. ­현역임원 가운데 누가 한보로 가는가. ▲임원 6∼7명을 예상하고 있다. 당진제철소 소장과 기획조정실장 건설담당, 판매담당 등을 맡게될 임원을 퇴직시킨 뒤 선임할 예정이다. ­포철이 직접 개입할 경우 통상마찰이 예상되는데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3일 하오에 임직원들과 심층적인 분석을 했다. 위탁경영진이 파견이 아니라 퇴직해서 자연인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마찰은 없을 것이다. 포철이 한보의 경영을 지배할 때는 문제가 생기지만 경영지원은 용역 베이스로 진행될 것이다. ­코렉스 방식이 수익성에서 취약하다고 보는 시각이 많은데. ▲아직 투자비를 파악하지 못했다. 손 단장이 가서 최대한 가동할 수 있도록 정상화할 것이다. 1조원이나 투자됐는데 버릴 수 없는 것 아닌가. 코렉스는 미래지향적인 공법이다. ­포철의 분석결과 한보가 당진제철소 건설과정에서 2조원을 유용했다는 얘기가 있다. ▲그렇지 않아도 안 통산장관과 그 문제로 통화를 했다. 그런 자료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다. 통산부와 공동실사단이 3일 현지로 떠났다. 결과가 나와야 안다.<한상복>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