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남북경협 활성화 "물류개선부터"

최근 남북경협 중소업체에 자금을 저리대출하는 등 정부의 지원방안이 발표되면서 일부업체에서는 생산확대를 추진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전자조합의 경우 최근 평양대동강유역에 조성된 전자단지내 1개동만을 사용하던 것을 최근 2개동으로 확대한데 이어 참여업체가 늘어날 경우 이지역을 아예 전자임가공전용단지으로 활용할 방침도 고려중이다.참여업체수도 올초 극동음향등 6개에서 삼홍사등이 신규참여해 7개로 늘었다. 특히 삼홍사의 경우 초기 5,000개의 소형DC모터를 임가공할 예정이었지만 계획을 바꿔 1만개로 늘렸다. 성남전자도 200만달러규모의 녹음테이프 라인을 설치중이며 조만간 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평양에서 컴퓨터 모니터용 인쇄회로기판(PCB)을 월 3,000대규모로 생산하고 있는 아이엠알아이도 조건이 허락하면 완제품생산까지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조치로 남북경협이 활성화되리라고 판단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 업계의 판단이다. 지금까지 임가공을 포함한 대북사업에 한번이라도 참가한 업체는 약 560개에 달한다. 이중 최근 2년내까지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업체는 그중 30%도 채 안되는 150여개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경협이 지지부진한 가장 큰 이유는 물류비 때문이다. 현재 임가공비용중 물류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무려 60%나 된다. 선박을 통해 운반하고 있지만 콘테이너당 비용이 600~700달러에 달하고 있다. 서울에서 싱가포르까지 운송하는 비용과 맞먹는 금액이다. 운송기간도 문제다. 평양까지 부품을 가져갔다가 다시 국내로 들여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무려 45일. 한번 왔다 가는데 업체당 무려 2억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계산이다. 북측 협상파트너의 신뢰성도 문제다. 기협중앙회의 경우 지난해부터 추진해 왔던 남북경협사업이 협상파트너였던 민족경제연합회의 무성의로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한관계자는 『협상대상자가 실권이 없기 때문에 합의를 해도 번복되기 일쑤고 그나마도 연락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때문에 올초까지 대북경협을 추진했던 공예, 라이터등 각조합들은 최근 현재는 거의 손을 놓고 있다. 한관계자는 『자금지원등의 조치만으로는 남북경협에 참여할 업체들이 크게 늘지는 않을 것』이라며 『육로운송 허용등 남북당국자간 물류개선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로 말했다. 송영규기자SKONG@SED.CO.KR

관련기사



송영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