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말린 산채류의 경우 물에 불리면 국산과 차이가 없어요. 국산 산채류를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신선한 상태로 진공 포장하는 시설을 산지에 설치해야 합니다." (김은환 산림복합경영인협회 부회장)
최근 경기도 여주 산림조합중앙회 임산물유통사업소에서 열린 산채류농가 현장간담회. 산림청 관계자, 산림조합, 산채 생산농가 등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신지식 임업인 황인삼씨는 "산채 재배는 육묘ㆍ종묘 등 초기비용이 많이 소요돼 육묘를 저렴하게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산채재배자는 "재배기준 품목별 브랜드육성방안 등에 대한 지원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유종석 임산물유통사업소장은 "웰빙 시대를 맞아 산나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보다 스토리텔링이 있는 산채를 공급하는 것도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라고 지적했다.
김종환 농업기술원 평창분소장은 "산채류 품종 개발 및 재배기술 컨설팅 지원을 위해 전문기관 설립 및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면서 "품종별로 산지 재배 모델을 볼 수 있도록 지역특성에 맞는 산채시험장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경남 산청군 산청한방약소연구소에서 개최된 약용류 농가 현장간담회에서도 다양한 요구가 쏟아졌다.
경남생약조합 박재동 조합장은 "약초류의 경우 산지재배가 필수적인데 산지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문경오미자협회 박병대 협회장은 "수입된 오미자 대부분이 국내산으로 둔갑하고 있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원단지 단속 등이 강화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남생약조합 박창수 이사 또한 "식품으로 들어와 약재로 판매되는 사례가 많고 국내산과 수입산이 혼합돼 판매되고 있다"며 "중국산 등에 대해 이력제를 실시해 정밀하게 유통과정을 추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태호 산청군 산림녹지과장은 "시ㆍ군이 자체적으로 특성에 맞게 약용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숲가꾸기사업 물량 일부를 시ㆍ군에 배정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안병택 화순군 산림경영과장은 "작약, 목단 등에 대한 지리적 표시를 등록하는 등 브랜드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지자체별로 지역을 특성에 맞는 소득 작물을 산업화할 수 있도록 약용ㆍ약초류에 대한 임업진흥지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10일 충북 영동군 산림조합에서 열린 현장간담회에서 전국호두생산자협회 박헌용 회장은 "일본은 호두 수요가 많아 수출시장으로 적합하다"면서 "정부가 우리 호두를 적극 홍보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전범권 산림청 산림이용국장은 "중국의 임산물 생산량은 우리의 수십 배에 달해양적인 측면에서 따라잡지는 못한다"며 "우리의 고유 임산물을 더욱 특성화하고 고급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림청은 지난 2010년 3,329억원 규모인 산채류 생산액을 오는 2021년 1조1,000억원으로 끌어올리고 이를 통해 임업인의 소득증대를 도모하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보존과 개발을 병행하면서 산지를 소득자원으로 육성하는 방안으로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산청에는 고로쇠+산채, 양평에는 조림지+더덕, 인제에는 숲가꾸기+곰취 시범 사업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숲가꾸기 사업지를 활용한 산림소득 사업도 활성화한다. 보전 산지의 경우 3㏊까지만 재배가 가능한데 숲가꾸기 사업지는 산지 일시사용신고 없이 재배 가능하도록 하고 임업인 소득지원 대상품목을 산지 재배가 가능한 모든 산채 및 약초류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약용류 생산액도 2010년 3,806억원 규모에서 2021년 1조1,000억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대규모 산지 생산단지를 조성하고 친환경 생산기반조성도 추진한다. 약용ㆍ약초 파종이 가능한 대상지는 숲가꾸기 실시 설계단계부터 반영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게 맞춤형 산약초 타운도 조성할 예정이다. 유통구조 혁신을 위해 약용식물 전문 유통조직을 육성한다. 북제주 사삼, 금산 당귀, 양양 천궁, 안동 산약 등 주요 품목별 대표 유통조직을 구성해 이를 브랜드화할 방침이다.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인증 산약초 품목을 대폭 확대해 수입산과의 차별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국산 우수 산지약용식물의 품질 차별화를 도모해나갈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