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행복주택 건축비 민간 아파트 4배

박수현 민주당 의원 국감서 "3.3㎡당 1700만원 추산" 주장

박근혜 정부의 주요 사업 중 하나인 행복주택의 건축비가 민간 아파트보다 4배가량 비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수현 민주통합당 의원은 14일 열린 국토교통부 국정감사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내부자료를 인용해 "행복주택 시범지구인 서울 오류ㆍ가좌지구의 행복주택 건축비가 3.3㎡당 1,670만~1,700만원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이 입수한 LH의 서울 오류ㆍ가좌지구 기술제안입찰 사전설명 결과보고에 따르면 서울 오류지구의 경우 1,500가구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공사비가 총 2,800억원인 것으로 추산됐다. 가구당 건축비는 평균 1억8,670만원 수준으로 신혼부부형 주택(36㎡형)을 건설할 경우 3.3㎡당 건축비는 1,700만원에 이른다.

또 가좌지구는 362가구 건설에 총 공사비 660억원이 들어 가구당 평균 1억8,200만여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측됐다. 36㎡ 규모의 주택을 짓는다면 공사비만 3.3㎡당 1,670만원선인 셈이다.


박 의원은 "일반적인 수도권 민간 아파트 건축비가 토지비를 제외하고 3.3㎡당 400만원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행복주택 건축비가 민간 아파트의 4배가 넘는 것"이라며 "건설비용을 보고 받은 국토부가 과다 건축비에 부담을 느껴 입찰공고 전날 공고를 보류하고 설계ㆍ견적 재작성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현 정부의 의도대로 도심 내 철도부지 등 국공유지를 활용해 공급하면 건립 가능 물량이 목표물량(20만가구)의 18%선인 3만5,000가구에 불과해 목표물량 채우기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 오류동과 가좌지구의 행복주택 건설비는 현재 설계과정이 진행 중"이라며 "정확한 공사비는 아직 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