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강제 법정금리 34.9%의 후폭풍] 깐깐해진 대부업체 신용등급 관리

8등급도 외면 6~7등급만 상대

저신용자 사채로 내몰려

금융위원회가 오는 4월부터 대부업의 최고금리를 연 34.9%로 인하하기로 한 가운데 대부업체들이 대출가능고객을 '저신용등급'에서 '중신용등급'대로 올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대부업체에서 대출을 받았던 저신용자들은 결국 사채시장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관련기사



금융감독 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12일 "최고금리가 연 34.9%로 낮아지면 50위권 밖 대부업체는 견디기 어렵다"며 "금액을 밝힐 순 없지만 최근 대부업체는 8등급 대출도 꺼리면서 줄이고 있고 저축은행이나 캐피털을 거래할 수 있는 6~7등급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금리가 낮아지면 사업을 접든지 심사를 강화하든지 해야 한다"며 "일본계는 저금리로 자금조달이 가능하지만 국내 업체는 이게 안 돼 대부업체의 대출고객 신용등급이 올라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용등급을 10단계로 구분하면 1~5등급까지는 은행을 이용할 수 있고 6~7등급은 저축은행과 캐피털·카드사 등에서 돈을 빌리며 나머지는 대부업을 이용한다. 그런데 최고금리 인하를 앞두고 대부업체들이 본격적으로 우량고객 위주로 대출을 하고 있는 셈이다. 대부업체들이 사채시장으로 다시 들어가거나 중신용등급 고객에게 주로 돈을 빌려주게 되면 서민들만 힘들어지게 된다. 나이스평가정보에 의하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전체 고객 4,215만명 중 9~10등급은 약 186만명이다. 8등급은 159만명 수준이고 2금융권 거래가 가능한 6등급과 7등급은 각각 450만명, 221만명에 달한다.

연체 같은 불량률은 10등급은 무려 40.7%이고 8등급(10.8%)과 9등급(14.9%)은 10%를 넘지만 6등급은 2%, 7등급은 6.8%에 불과하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대부업체에 금리를 낮추라며 중금리대 상품을 요구하게 되면 당연히 중신용등급자들과만 거래하려고 한다"며 "금리 인하가 누구를 위한 것인지 잘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