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부한 자원만 믿고 인적 자원 육성에 소홀한 국가들과 달리 자원이 없는 국가는 인적 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해 어릴 때부터 교육에 적극 투자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원 빈국의 국민으로서 위안이 되는 연구 결과다.
하지만 자원이 없다는 이유로 국제사회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시리아 입장에서는 아무런 위로가 되지 않을 듯하다.
시리아는 15일로 민주화 시위 발생 1주년을 맞이하지만 사망자 숫자만 늘고 있을 뿐 사태 해결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EU)이 시리아에 강력한 경제 제재에 나섰고 미국 역시 군사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민주화 시위대를 유혈 진압하는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을 퇴진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이는 지난해 시리아보다 조금 일찍 반정부 시위가 시작된 리비아에 대해 미국과 EU가 곧바로 군사 개입에 나서 내전을 종료한 것과 대조적이다. 시리아의 원유 매장량은 약 25억배럴로 OECD 7위 산유국인 리비아(460억배럴)의 5%에 불과하다. 리비아 사태 때는 원유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유가가 급등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서방국들은 군사 개입이라는 최후의 수단까지 동원했지만 석유가 거의 없는 시리아에 대해서는 그럴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러시아와 중국 역시 이해관계 때문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시리아 제재 결의안에 반대하며 사태 해결을 가로막고 있다. 러시아는 시리아에 해군을 주둔시키며 지중해에서 미국과 유럽을 견제하는 동시에 시리아에 무기를 팔아 돈벌이를 하고 있다. 중국은 시리아와 우호적 관계를 통해 중동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노리는 중이다.
인권단체들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반정부 시위 시작 이래 시리아에서는 지금까지 1만명 이상이 사망했고 9,200명 이상이 정부군의 진압으로 신체가 불구가 됐다. 250만명의 주민들은 전기와 음식ㆍ물 등의 필수품 없이 생활하고 있다. 석유가 없다고 외면하기엔 이들의 고통이 너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