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저가 이통 내달 출범 앞두고 '삐걱'

방통위, 이통 계열사 사업승인 유예… 망임대 협상도 난항


내달 1일 사업을 시작하기로 예정됐던 저가 이동통신사(이동통신 재판매ㆍMVNO)들이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지난 주말 열린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기존 이동통신사 계열사(SK텔링크 등) 들의 이통 재판매업 승인을 유보한데 이어, 비계열 사업자들의 망 임대 협상이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의 사업 개시 목표일이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KCT는 SK텔레콤의 이동통신망을 빌려 내달 1일 선불요금제를 출시키로 했지만 '망 연동 협정서'를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 망 연동 협정은 KCT가 SK텔레콤의 통신망을 빌려 통화품질을 시험하고 사업을 개시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에 대해 KCT 관계자는 "일단은 여전히 1일 사업 개시가 목표"라며 "선불요금 충전ㆍ인터넷 잔액조회 같은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번 주 중으로 다시 정확한 사업 개시 날짜를 결정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KCT와 SK텔레콤이 망 연동 협정을 마무리 짓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분석이 제시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SK텔링크의 MVNO 사업 진출이 불투명해지면서 SK텔레콤이 KCT를 박대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SK텔레콤의 자회사인 SK텔링크의 MVNO 사업 개시에 대해 유예 결정을 내렸다. 거대 이동통신 사업자의 계열사가 MVNO 시장에 뛰어들 경우 신규 사업자들의 진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이는 예비 MVNO 사업자들의 모임인 한국MVNO사업자협회에서 방송통신위원회에 지속적으로 요구해 온 사항으로, KCT가 한국MVNO사업자협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왔다. SK텔레콤은 이에 대해 "다량구매 할인율이나 통신설비 인프라 지원 등과 관련해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상대편에서 다소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경우는 있지만 서로 협상에 대한 의지는 강하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저가 이통사업을 준비해 왔던 SK텔링크는 졸지에 사업 개시가 불투명하게 됐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앞으로 상황을 봐서 계획을 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SK텔링크의 MVNO 사업을 원천적으로 막을 것이란 추측도 제기되고 있으며, 당장 유예 기간이 수 개월이 될지 1년이 될지 정해지지 않아 난감한 상황이다. KT계열 KTIS도 사업개시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편 KCT와 마찬가지로 내달 1일 사업개시를 예고해 온 아이즈비전의 경우 일정대로 사업을 진행할 전망이다. 아이즈비전은 지난 18일 SK텔레콤과 음성 MVNO 협정을 체결하고 내달부터 4종의 선불요금제를 선보이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