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구조·실종자 파악 갈팡질팡

세월호 침몰 사고 수습을 지휘하고 있는 정부가 사고 3일째인 18일에도 구조·실종자 파악에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해해양경찰청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 주무부서의 소통부재로 정부가 되레 혼란을 키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관련 부처에 따르면 중대본이 사고 당일인 지난 16일 구조자로 파악했던 단원고 학생 문지성양은 이틀이 지난 이날에서야 청와대를 통해 실종자였음이 파악됐다.


중대본은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진 뒤에서야 사태파악에 나서 "문양은 실종자가 맞으며 이는 해경의 실수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다만 중대본은 발표된 전체 구조자 숫자는 맞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중대본 측은 애초 "우리는 해경에서 자료를 받아 명단을 발표한다. 문양은 구조자 명단에 포함된 적이 없다"며 "업무상 착오로 해양수산부 명단에 잠깐 올라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반면 또 다른 주무부처인 서해해양경찰청 관계자는 "문양은 구조자가 아닌 실종자가 맞고 지금도 실종자 명단에 포함돼 있다"며 "당시 실수가 있었는데 명단 발표 2시간여 뒤에 바로잡았다"고 전해 정부 부처 간 소통부재를 드러냈다.

중대본은 이에 대해 "해경 측으로부터 업데이트된 자료를 받은 적이 없다"며 "해경과 소통이 잘 안 되고 있다"고 밝혀 서로 책임을 넘기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중대본은 16일 밤 이후 구조자 이름이 담긴 명단을 발표하지 않았다. 구조자 수는 당시 174명에서 18일 179명으로 늘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