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朴, 김무성 카드로 인적쇄신 갈등 봉합 시도… 해결책 될까…미봉책 그칠까…

선대본부장 중용 가능성<br>김종인·이상돈과 융합 관건<br>非朴 "비상체제 전환해야"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당내 인적쇄신 갈등의 봉합을 위해 '김무성' 카드를 내놓았다. 비박계를 끌어안을 수 있는 인물을 내세웠지만 인적쇄신 요구에 대한 해답이 될지는 의문이다.

박 후보는 9일 당 정치쇄신특별위원회 주최로 열린 '국민대통합을 위한 정치쇄신 심포지엄'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김무성 전 원내대표는) 앞으로 선거대책위원회에서 중책을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무성 역할론'은 전날 박 후보가 참석한 선거대책위원회 의장단 긴급회동에서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원내대표가 선대위에 들어올 경우 총괄선대본부장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

김 전 원내대표는 과거 '친박계 좌장'으로 불렸지만 세종시 수정안 논란이 일었던 당시 박 후보와의 관계가 멀어졌다. 당내에서는 친박부터 비박까지 고루 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다. 한 비박계 의원은 "박 후보의 인식이 변화했음을 보여준다"며 긍정적인 의사를 밝혔다.


다만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이상돈 정치쇄신특별위원과의 융합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위원은 이날 오전 라디오 방송에서 "문제의 본질은 아니지만 김 전 원내대표는 과거에 설화ㆍ말실수가 많았다"며 비판했다. 친박계 일각에서도 "2년 전 원내대표를 할 당시 문제가 많았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제기했다.

관련기사



박 후보가 '김무성 역할론' 외에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카드를 제시하지 않을 경우 '미완의 봉합'으로 남을 가능성도 높은 것을 보인다.

당장 '김종인ㆍ이한구' '안대희ㆍ한광옥' 사이의 대립구도 해결이 숙제다. 박 후보는 이날 "국민이 볼 때 쇄신하는 사람, 통합하는 사람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두 가지는 같이 가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모든 인사를 끌고 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지도부 2선 후퇴 요구와 관련해서도 최근 최경환 전 비서실장의 사퇴와 김 전 원내대표 중용 등이 맞물리며 퇴진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비박계 의원은 "당 지도부, 선대위를 뛰어 넘는 비상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며 "김 전 원내대표만 들이는 것은 1차 수습책은 되겠지만 과연 그것으로 모든 것이 해결될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한 초선 의원도 "당 중심부에서 이런 갈등이 계속 일어나면 어쩌나"라며 "초선 의원들도 따로 모임을 가져야 한다는 얘기가 있다"고 말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