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혼ㆍ별거, 성격차이 보다 경제문제가 더 커…”

여성이 이혼과 별거를 하는 이유로 성격차이 보다 폭력과 경제문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유경 연구원은 2012년 전국의 15~64세 기혼가구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기혼여성 9,500여명 중 이혼·별거한 여성 604명을 대상으로 해혼 이유를 분석한‘혼인실태와 가족주기의 변화’란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이혼하고 별거하는 이유로 경제문제가 26.1%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배우자의 외도 24.1%, 성격차이 22.2%, 학대·폭력 12.9%, 가족부양의무 불이행 11.1%, 가족 간 불화 2.3%, 기타 1.2% 등의 순이었다. 남편과의 파경 이유로 성격차이는 줄어든 반면, 경제문제와 학대·폭력이 증가한 것이다.


2009년 같은 조사에서는 성격차이가 28.6%로 가장 비율이 높았고, 이어 배우자의 외도 25.2%, 경제문제 22.8% 순이었다. 당시 학대·폭력은 7.4%에 그쳐 가족부양의무 불이행 10.6%보다 낮았다.

관련기사



성격차이로 인한ㄴ 해혼은 감소했지만, 최근 들어 학대·폭력과 경제문제 때문에 이혼하고 별거하는 경우가 급증한 것이다.

이혼ㆍ별거 당시 기혼여성의 연령별 해혼 이유를 보면, 연령층별로 차이를 보였다. 20대 이하와 30대는 배우자의 외도가 가장 높았는데 반해, 40대와 50대 이상은 경제문제가 해혼의 주요 이유로 작용했다.

결혼기간에 따라서도 차이가 났다. 결혼기간이 10년 미만인 기혼여성은 배우자 외도로 말미암은 해혼이 가장 많았다. 반면 결혼기간 20년 이상의 기혼여성은 경제문제가 가장 큰 해혼 사유였다.

이혼·별거를 먼저 제의한 쪽은 부인이 82.9%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남편은 15.1%, 시부모나 친정부모 2.0% 등이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