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오피스빌딩 임대료 인상 조짐

공실률 11년만에 최저


서울 지역 오피스 빌딩 공실률이 지난 1997년 이후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임대료 역시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오피스 빌딩 수급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컨설팅 기업 새빌스(Savills)BHP코리아가 서울에 있는 연면적 3만㎡ 이상 오피스빌딩 81곳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월 기준 서울 오피스 빌딩 공실률은 0.6%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ㆍ4분기에 비해 0.4%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여의도는 1ㆍ4분기에 이어 2ㆍ4분기에도 공실이 전혀 없었으며 광화문 일대 오피스 빌딩 공실률은 0.5%로 1ㆍ4분기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강남 테헤란로 업무중심지역의 공실률은 1.0%로 1ㆍ4분기보다 0.9%포인트 떨어져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다. 대한생명 서초사옥과 F&F 역삼동 사옥 등이 2ㆍ4분기에 신규 공급됐으나 대부분의 면적을 자사가 사용하고 있어 공급난을 해소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오피스 빌딩 공급난이 심화하면서 임대료 역시 인상 조짐을 보이고 있다. 2ㆍ4분기 오피스 빌딩 임대료는 ㎡당 2만2,710원으로 1ㆍ4분기 대비 1.2% 올랐다. 강남 업무중심지역에 있는 한국지식센터는 임대료를 10.8% 올려 가장 높은 인상률을 보였다. 홍지은 BHP코리아 리서치팀장은 “시장에 빈 사무실이 없어 1ㆍ4분기에 이어 2ㆍ4분기에도 임대료를 재인상한 빌딩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대형 오피스 빌딩 공급이 예정돼 있는 오는 2010년까지는 오피스난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