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3월 1일] 원지동 추모공원의 사회경제적 가치

서울 서초구 원지동의 서울추모공원이 지난 25일 기공식을 갖고 공사에 들어갔다. 서울시가 제2화장장 건립방침을 밝힌 지 12년, 입지선정 후 9년 만이다.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오랜 세월 난항을 겪은 원지동 추모공원의 과정은 장례문화의 선진화와 화장장ㆍ장례식장 등 이른바 혐오시설의 확충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매장 위주 장례관행의 경제사회적 손실은 막대하다. 매년 여의도 면적의 1.2배 정도 되는 땅이 묘지로 잠식돼 그렇지 않아도 좁은 국토의 토지이용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산림훼손에 따른 환경파괴와 온실가스 흡수능력 저하, 산사태 등 자연재해 빈발에 따른 피해도 크다. 장례비용 자체도 화장보다 훨씬 많이 든다. 이에 따라 매장을 화장으로 바꾸기 위한 제도개선 및 지도층 인사들의 화장유언 남기기 운동 등 시민단체들의 캠페인이 꾸준히 이어졌고 그 덕택에 이제 국민들의 의식이 크게 바뀌어 화장 장례가 크게 늘고 있다. 그러나 화장시설 부족이 장례문화 개선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서울의 경우 시설이 한곳밖에 없어 10~20배의 비용을 더 부담하며 다른 지역 시설을 이용하는가 하면 그것도 여의치 않아 3일장 대신 4~5일장을 치르는 경우도 많은 실정이다. 장례문화 선진화를 위해서는 이런 불편을 해소해야 하며 그러려면 전국적으로 화장시설 확충이 시급하다. 문제는 장례식장ㆍ화장장 등은 혐오시설이라는 뿌리 깊은 인식 때문에 신설이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착공까지 10여년이 걸린 서울추모공원과 SK가 무려 500억원을 들여 완공해 기부한 세종시 장례문화센터가 이를 잘 말해준다. SK는 당초 이 시설의 입지로 서울추모공원을 계획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고 서울 근교 신도시에서도 역시 퇴짜를 맞았다. 신도시 시행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간 마찰로 착공이 늦어졌고 그 사이에 아파트 분양이 이뤄지면서 입주 예정자들이 들고 일어난 것이다. 그래서 옮겨간 곳이 세종시다. 결국 화장장과 같은 기피시설은 신개발지 도시계획 입안 초기에 정해 다른 건물, 특히 아파트 분양 전에 착공해야 탈없이 지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시민의 장례불편을 크게 해소하게 될 서울추모공원이 이른바 혐오시설에 대한 정서를 바꾸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