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편의점 점주의 비명


안타깝게도 요즘 편의점 업계의 화두는 '자살'이다. 올 들어 벌써 4명의 가맹점주가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점주 개인적인 문제가 전혀 없지는 않겠지만 편의점 본사의 불공정관행으로 느낀 그들의 자괴감과 무력감이 자살 결심에 보탬이 된 것은 부인하기 어려워 보인다.

하나둘씩 속살을 드러낸 편의점 본사의 우월적 지위 남용 사례는 점주의 '등골브레이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월 수백만원 수익이 보장된다는 본사 말만 믿고 편의점을 개설했다가 정작 월세와 인건비 내기도 벅차다는 하소연은 부지기수다. 공직에서 물러나면서 부인의 편의점(CU)에서 아르바이트를 한 김능환(62) 전 중앙선거관리위원장도 이 같은 사정에서 예외가 아니다. 김 전 위원장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임차료 내는 것도 빠듯하다"면서 "장사가 이렇게 힘든 줄 몰랐다"고 토로했다.


장사가 안되면 폐점하면 되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도 쉽지 않다. 대개 5년인 계약기간을 채우지 않고 폐점하면 막대한 해지 위약금을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사가 임의로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세븐일레븐의 한 점주가 몸이 아파 새벽 시간에 잠시 문을 닫았다는 이유로 계약 해지를 당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편의점 본사들은 가맹점주와는 파트너 관계로 이익과 손해를 함께 보는 구조이고 일부 극성스러운 점주들의 왜곡된 주장에 불과하다고 항변한다.

그러나 이 주장도 설득력이 떨어진다. 지난해 말 기준 편의점 수는 2만4,500개로 2006년 말(9,928개)보다 2.5배 늘었다. CUㆍGS25ㆍ세븐일레븐ㆍ미니스톱 등 4대 편의점 본사의 순이익은 지난해 2,552억원으로 2006년보다 4배 급증했다. 점포 수가 늘수록 점포당 매출은 쪼그라들게 된다. 하지만 본사는 기존 점포 매출에 상관 없이 신규 가맹점으로부터 수수료를 챙길 수 있으니 이익이 불어난다. 본사가 무분별하게 점포 확장에 열을 올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IMF 외환위기 이후 10년 이상 편의점은 창업 희망자들과 소비자들의 선호 덕에 급성장해왔다. 경제민주화니 갑을관계 개선이니 이런 주장을 굳이 들먹이지 않더라도 편의점 본사는 그동안 성장을 견인해준 창업점주들에게 감사를 표할 만한 덩치와 위치에 이르렀다. 이제 편의점 본사가 화답할 차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