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예보법 개정안 타결] 당국, 특별계정 마련

하반기부터 구조조정 속도낼듯<br>BIS비율 5~7%대 대상… 인수합병·매각 불가피


저축은행업계에서는 당국이 구조조정을 위한 실탄(구조조정 특별계정)을 마련한 만큼 하반기부터 다시 옥석 가리기에 나서지 않겠느냐고 예상하고 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에 이어 김종창 금융감독원장도 "추가 영업정지는 없다"고 공언했지만 지난해 말 현재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5~7%대에 불과한 저축은행이 지난해 말 현재 11곳에 달해 추가적인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저축은행들의 2010회계연도(2010년 7월~2011년 6월) 결산이 이뤄지는 오는 6월 말 이후 저축은행에 대한 건전성을 따져 살생부를 작성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건전성이 좋지 않은 곳에 대해서는 증자 기회 등을 준 뒤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당국이 영업정지나 3자 매각을 추진할 것으로 업계 관계자들은 내다보고 있다. 어렵사리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위한 칼을 꺼내든 만큼 이번 기회에 부실의 싹을 확실히 제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하반기에만 최소 몇 개 업체가 부실 문제로 시장에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하반기에는 대형 저축은행보다는 중소형 저축은행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 현재 영업정지된 대형 저축은행의 인수합병(M&A)과 일부 부실 저축은행 처리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BIS비율이 낮다고 지목된 업체들이 모두 지방이나 수도권의 중소형 업체이기 때문이다. 다만 올해 말부터는 과거 자산관리공사에 매각했던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되사야 한다는 게 대형 저축은행 입장에서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 저축은행들은 지난 2008년 말부터 2009년 초에 걸쳐 자산관리공사에 약 1조7,000억원 규모의 부실 PF를 3년 만기로 매각했다. 현재 자산관리공사는 부동산 경기침체로 PF를 시장에 거의 팔지 못했기 때문에 연말부터는 이를 대형 저축은행들이 되사야 한다. 대형 저축은행이 부실 PF 자산을 되살 경우 저축은행의 건전성은 대폭 악화될 수밖에 없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2010회계연도 결산이 나오는 하반기에는 부실 저축은행의 M&A와 영업정지ㆍ매각 등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저축은행업계의 새 판 짜기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