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노인 건강보험 진료비 급속 증가

만성질환 진료비 전체의 10.9%


고령화로 건강보험 진료비에서 65세 이상 노인들을 위해 사용되는 진료비와 전체진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0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서 지난해 건강보험 진료비(43조6,283억 원) 가운데 65세 노인 이상 진료비는 14조1,350억원에 달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497만9,000명인 점을 고려하면 1인당 평균 283만9,000원이 들어간 것이다. 이는 국민 1인당 평균 연간 진료비(89만5,000원)의 3배 이상이다. 65세 이상 진료비가 전체 진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2003년 21.3%에서 지난해 32.4%로 급격히 높아졌다. 국민 1인당 의료기관 평균 방문일수는 18.5일(입원 2.1일, 외래 16.4일)로 2003년(14.7일)보다 1.3배 늘었다. 직장가입자는 가구당 월평균 7만3,399원, 지역가입자는 월평균 6만7,168원을 보험료로 내고 연간 가구당 165만원, 1인당 연간 69만원의 보험혜택을 누렸다. 연간 500만원 이상의 고액진료를 받는 환자는 115만명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건보적용 대상자중 500만원 이상 고액진료 환자비중은 2.5%였고 이들의 진료비 비중은 32.8%였다. 고령화와 식습관의 서구화로 고혈압과 당뇨병은 진료비가 많이 들었다. 가장 많은 진료비가 들어간 질병은 본태성고혈압으로 484만명이 진료를 받고 진료비는 2조2,540억원이 들었다. 2위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으로 진료 환자수는 173만명 진료비는 1조1,007억원이었다. 고혈압과 당뇨병,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갑상선장애 등 주요 만성질환 진료비는 지난해 전체 진료비의 10.9%를 차지했다. 최근 5년간 주요 만성질환 가운데 진료인원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은 갑상선질환(57.4%)이었고 뇌혈관질환(34.7%), 고혈압(29.1%), 당뇨병(23.4%), 심장질환(17.6%) 등 순이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