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나라·미래희망연대 2일 합친다

의석수 174석으로 늘어

권영세 한나라당 사무총장이 1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래연대와의 합당에 대해 발표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오대근기자

한나라당과 미래희망연대(옛 친박연대)가 2일 합당 절차를 마무리한다. 한나라당이 사실상 '박근혜당'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셈이다.

권영세 한나라당 사무총장은 1일 "2일 양당 원내대표가 합당합동회의를 열어 합당을 의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 총장은 "오래 전 약속한 것을 지키는 것"이라며 지나친 의미부여를 경계했지만 지지부진했던 합당 결의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이후 급물살을 탄 것을 두고 당내에서는 박근혜 체제가 뿌리를 내리는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최근 비대위는 친이명박계를 제외한 공직자추천위원회를 구성했고 19대 총선 룰을 정하는 국회 정치개혁특위에도 친박계 위원장과 간사가 자리하고 있다.


18대 총선 공천에서 탈락한 한나라당 친박근혜계 인사가 탈당해 만든 미래희망연대는 현재 8명의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남아 있다. 이들 중 다수는 서울 강남3구와 경북 대구 등 전통적인 한나라당 텃밭에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만큼 기존 한나라당 출마자들과 공천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양당은 지난해 7월 전당대회에서 합당을 결의했지만 미래희망연대가 갖고 있는 13억여원의 채무와 20여명의 당 사무처 직원을 한나라당이 승계하는 문제가 표면적인 걸림돌로 작용했다. 더 큰 이유는 17대 대선 경선에서 박근혜 당시 후보 캠프의 좌장인 서청원 전 대표의 사면 복권과 8명 비례대표 의원의 공천 지분 요구를 친이계가 거부했기 때문이라는 게 당내 중론이다. 그러나 최근 서 전 대표는 사면 복권 요구를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박 위원장 측에 전했으며 비례대표 공천 지분도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한나라당은 채무와 사무처 당직자 승계를 받아들였다. 한나라당이 당명 개정을 의결한 후 2월 초순 본격적인 공천에 들어가기 전에 합당을 원했던 미래희망연대 측의 요구가 받아들여진 것이다.

친박계인 미래희망연대 8명의 소속이 한나라당으로 변경되면 의석 수는 166석에서 174석으로 늘어난다. 당내 친박계 인사가 늘어나는 동시에 매년 미래희망연대가 받던 22억여원의 국고보조금도 한나라당에 흡수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미래희망연대는 서 전 대표가 이끄는 산악회인 '청산회'를 통해 박 위원장을 외곽에서 지원해왔다. 청산회는 오는 3월 대대적인 시산제를 열 예정이다. 박 위원장은 경선 패배 직후인 지난 2007년 10월 청산회 산행에 참석한 바 있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