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AIST, 단백질 나노튜브 자기조립 분자스위치 발견

KAIST는 바이오 및 뇌공학과 최명철·송채연 교수팀이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이스라엘 히브리대와 공동으로 세포분열과 세포간 물질수송에 열쇠가 되는 단백질 나노튜브의 자기조립 구조를 제어하는 분자스위치를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가로×세로×폭이 각각 4×5×8 나노미터인 단백질 블록을 쌓아 올려 25나노미터 굵기의 튜브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을 추적했고 이 과정에서 레고 블록의 형태를 제어하는 분자스위치를 발견했다.

관련기사



최 교수는 “인간의 생명 시스템은 고도의 자기조립 구조체를 형성해 복잡한 생물학적 기능을 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극히 단순한 물리학적 원리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즈’ 19일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