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미국 출구전략 시점 앞당기나

비둘기파 더들리 뉴욕연방은행 총재 "고용 개선되면 양적완화 축소"

윌리엄 더들리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핵심 인사인 윌리엄 더들리 뉴욕연방은행 총재가 고용시장이 개선되면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혀 시장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더들리 총재는 그동안 양적완화를 옹호해온 FRB 내의 대표적인 비둘기파다. 뉴욕연은 총재는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상임위원이며 뉴욕연은은 뉴욕금융시장을 통해 FRB의 정책을 집행한다.

25일(현지시간) 더들리 총재는 뉴욕 경제인클럽 강연에서 "실질적으로 고용시장 전망이 개선될 경우 FRB는 국채와 모기지채권 매입규모를 어떻게 할지에 대해 심사숙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주택시장 반등 등을 언급하며 미국경제가 수면 아래서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그는 "최근 비농업 취업자 수가 증가했지만 2011년과 지난해처럼 잠시 고용이 늘었다가 다시 주저앉을 위험이 상존한다"며 현시점에서 양적완화 정책이 지속돼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더들리 총재는 이어 1ㆍ4분기 미국경제의 반등은 일시적 요인들에 의한 것이며 실제 재정지출 감축이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으로 고용시장의 실질적인 개선이 나타날지도 장담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또 의회가 재정정책 측면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는 만큼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이를 상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더들리 총재의 발언은 양적완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FRB가 채권매입 규모를 조정할 출구전략 시점이 다가오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주 벤 버냉키 FRB 의장이 FOMC를 마친 후 기자회견에서 고용시장이 개선되면 채권매입 규모를 줄일 수 있다고 발언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FRB가 앞으로 양적완화를 어떻게 축소해나갈지에 대한 보다 명확한 힌트를 준 것이라고 보도했다.

더들리 총재는 키프로스 사태 등 유로존의 혼란이 미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유럽중앙은행(ECB)의 국채매입 프로그램은 유로존 금융시장을 방어해 리스크를 줄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버냉키 의장은 이날 양적완화를 강력히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 버냉키 의장은 이날 런던비즈니스스쿨에서 열린 강연에서 "FRB의 양적완화는 주변국들에도 이익이 되는 정책"이라며 달러화 평가절하를 위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미국ㆍ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거의 유사한 통화완화 정책을 구사함에 따라 환율영향은 제한적이며 이머징 국가들도 선진국들의 경기회복으로 이득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양적완화는 주변국가들에 피해를 주는 '근린궁핍화(beggar-thy-neighbor)' 정책이 아니라 '이웃을 부유하게 하는 정책(enrich-thy-neighbor action)'"이라고 주장했다.


이학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