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테라급 초고밀도 정보저장 소재 개발

김진곤 포항공대 교수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발표

상온에서도 압력을 이용해 테라비트급 초고밀도 정보 저장이 가능한 고분자 소재 및 정보 저장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김진곤 포항공대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원자힘 현미경(AFM)’ 탐침이 고분자 표면에 접촉하면서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을 이용해 ‘폴리스틸렌-폴리노르말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PS-b-PnPMA)’ 블록공중합체 박막 위에 나노 패턴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날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김 교수팀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2.54㎠당 1.03테라비트(1테라비트는 1,000기가비트)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이번 기술은 그동안 350도까지 가열해야 제작할 수 있었던 기존 기술과는 달리 압력만으로 상온에서 패턴을 제작, 고온 성형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라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다. 김 교수는 “압력만으로 상온에서도 나노구조를 만들 수 있는 고분자 조립체를 이용해 나노 패턴을 손쉽게 만들 수 있게 됐다”며 “이번 연구의 성과는 세계적인 기업들이 앞다퉈 개발하고 있는 고집적 정보 소재 관련 기술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차세대 테라비트급 정보 저장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미국 IBM의 연구기술은 정보 저장에 따른 일련의 과정에서 고분자 필름에 유동성을 주도록 AFM 탐침에 상온 350도까지 가열하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고온에서 사용 가능한 AFM 탐침을 제조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고분자 필름으로의 열전도가 0.3% 이하에 불과해 효율이 낮고 온도 조절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많다는 단점이 제기돼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