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OECD, 선진국 차입난 심화 경고

유로 위기 장기화와 세계 경제 둔화 때문에 선진국 정부 및 시장의 차입이 갈수록 어려워질 것임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경고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2일 보도했다. 신문은 OECD 분석을 인용해 OECD 역내국 정부와 시장의 차입이 올해 10조4,000억 달러, 내년에도 10조5,000억 달러에 각각 달할 전망이라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이처럼 차입 수요가 큰 상황에서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역내 주요 선진국조차 민간시장 차입이 어려워질 것으로 OECD는 내다봤다. OECD는 이 때문에 OECD 역내국의 단기채 발행 비율이 지난 2007년에 비해 현저히 높은 44%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면서 이는 이들 국가가 차환 난에서 헤어나기 어려울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많은 선진국 국채가 안전 자산 위상을 상실하는 것도 큰 문제라고 지적한 OECD는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물론 아직 AAA 등급을 유지하는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신문은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국채가 시장에서는 더는 안전 자산 취급을 받지 못하고 있음이 현실임을 상기시켰다. OECD의 한스 블롬메스타인 국채관리국장은 “시장이 ‘야성적 충동’에 의해 지배되는 모습”이라면서 이 때문에 “국채 수수료가 치솟아 지속적인 채무 이행을 어렵게 하는 심각한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경제학자 존 케인스는 경제가 인간의 합리적, 이성적 판단에 의해서만 돌아가는 게 아니라 비경제적 본성도 경제를 움직이는 요소가 될 수 있다면서 이를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이라고 명명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