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글로벌 금융위기 후 시가총액 ‘1조 클럽’ 기업수 증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5년 새 시가총액이 1조원을 넘는 ‘1조 클럽’에 지각 변동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전기전자·정보기술(IT)과 자동차·부품은 선전한 반면 조선·기계, 철강, 통신 등 전통·재래식 업종은 부진했다.

6일 기업경영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말 이후 최근 5년간 국내 증시에 상장된 시가총액 1조원 이상 대기업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1조 클럽에 가입된 기업 수는 2008년 말 102개에서 지난달 말 기준 155개로 53개(52.0%)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 합계도 491조원에서 1,061조원으로 116.3%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는 1,124에서 2,030으로 80.5% 상승했고 전체 상장기업들의 시가총액도 622조원에서 1,316조원으로 111.6% 증가했다.

반면 워크아웃(기업구조 개선작업), 주가 하락, 인수·합병 등으로 1조 클럽에서 퇴출된 기업도 10개였고 24개 대기업은 시가총액이 외려 쪼그라들었다.


여기에 시가총액 증가율이 코스피 상승률을 밑돈 기업 42개를 합치면 모두 76개 기업의 시가총액 증가율이 코스피 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한 것이다.

관련기사



업종별로 보면 2008년엔 IT·전기전자→조선·기계·설비→철강→통신→석유화학→건설→식음료 순으로 시총이 높았지만 지난달 말에는 IT·전기전자→자동차·부품→석유화학→문화콘텐츠 및 정보서비스→조선·기계·설비→보험→철강 순으로 지각 변동이 있었다.

자동차·부품, 석유화학, 문화콘텐츠 및 정보서비스, 보험 등은 약진한 반면, 조선·기계·설비, 철강, 통신은 뒷걸음질 친 것이다.

그룹별로는 삼성의 독주가 여전했다. 삼성그룹의 1조 클럽 회원사는 12개에서 16개로 늘고 시가총액 합계는 108조4,000억원에서 309조7,000억원으로 185.6% 증가하며 부동의 1위를 지켰다.

기업별로 5년간 시총을 가장 많이 끌어올린 곳은 기아자동차였다. 기아차의 시총은 2조2,700억원에서 25조원으로 무려 999.7%라는 ‘폭풍 성장’을 이뤘다. 시총 순위도 60위에서 5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반면 신세계는 이마트 분사로 같은 기간 시총이 9조900억원에서 2조6,300억원으로 71%나 줄었다.

또 이 기간 KTF, 외환은행, LG데이콤, 하이트진로 등은 다른 기업에 인수돼 소멸됐고, STX팬오션, 동국제강, 한진해운, 한진중공업, 태웅, 메가스터디는 실적 부진으로 시총이 줄며 1조원 클럽에서 탈락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