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LG유플러스 "IPTV에도 스마트 기능"

'스마트7' 출시… 침체 IPTV 시장 새 돌파구 될듯

LG유플러스가 TV를 시청하면서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인터넷TV(IPTV) 서비스 '유플러스TV 스마트 7'을 출시했다.

LG유플러스가 기존 인터넷TV(IPTV) 서비스를 대폭 개선한 새로운 개념의 IPTV 서비스를 출시하고 대대적인 시장 반격에 나선다. LG유플러스는 11일 LG광화문 빌딩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기존 IPTV를 통해 인터넷 접속과 TV앱스토어 등 스마트TV 기능을 제공하는 '유플러스TV 스마트7'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국내 통신사업자 중 TV앱스토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LG유플러스는 기존 통신사업자뿐만 아니라 TV 제조업체들과도 '스마트TV' 시장을 둘러싼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유플러스TV 스마트7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스크린 서비스 ▦TV앱스토어(App store) 등 개방형 플랫폼 도입 ▦고객 편의성 강화 ▦콘텐츠 연계형 커머스 모델 다양화 등 7가지의 세분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웹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와 이메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이용할 수 있어 기존 TV 방송 및 주문형비디오(VOD) 시청 등 제한된 기능으로 인해 정체됐던 IPTV 시장에 새로운 돌파구가 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이번 서비스를 기존 IPTV 고객도 셋톱박스 업그레이드를 통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용요금은 기존 이용요금인 월 9,000원(3년 약정, 스마트라이트 상품 기준)과 동일하며, 핑거마우스 리모콘을 선택하면 월 1,000원이 추가된다. LG유플러스는 유플러스TV 스마트7을 앞세워 내년 말까지 가입자 100만명을 확보하고 현재 5만여편 수준인 지상파, 영화, 교육 등 방송 콘텐츠를 2012년까지 10만편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LG유플러스가 IPTV 시장 공략을 위한 포문을 열면서 그동안 정체 상태에 빠졌던 IPTV 시장이 활기를 띨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차세대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인 IPTV 서비스는 지난 2008년 10월 국내 첫 상용화에 들어갔지만 통신사업자들의 이해관계와 정부 정책이 엇갈리면서 기대 만큼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케이블TV 가입자는 1,530만명에 달하는 반면 IPTV 가입자는 320만명 수준에 불과하다. 올 초 방송통신위원회는 연말까지 IPTV 가입자 400만명을 달성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사실상 시장 활성화에 실패하면서 대대적인 계획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LG유플러스 이정식 홈솔루션(HS) 사업본부장은"이번 서비스 출시로 웹 콘텐츠 및 양방향 서비스 제공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며"유플러스TV 스마트7이 기존의 IPTV와 스마트TV의 경계를 허무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