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시내버스 절반 5년내 저상버스로 교체

국토부, 표준모델 기준 공고

앞으로 5년 내 전국 시내버스의 절반가량이 바닥이 낮고 출입구에 계단이 없는 저상(低床)버스로 바뀐다. 국토해양부는 7일 기존 저상버스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연비가 향상된 ‘한국형 저상버스’의 표준모델 기준을 공고하고 내년 11월부터 본격적인 생산ㆍ보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국가연구개발사업(교통체계 효율화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마련한 한국형 저상버스는 기존 저상버스에 비해 가격이 약 2,000만원가량 저렴하고 연비도 10~20%가량 향상된다. 또 앞 출입문 폭이 기존 850㎜에서 900㎜ 이상으로 넓어지고 휠체어 고정장치 수 확대, 통로 측 좌석 팔걸이 및 발끼임 방지 장치 등 이용자 편의시설도 대폭 늘어난다. 이 밖에 차량 외부 디자인도 획일적인 박스형 외관에서 벗어나 도시미관을 향상시키고 지자체ㆍ운수업체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국토해양부는 앞으로 1년간 차량제작 준비기간을 거쳐 내년 11월부터 본격적인 생산ㆍ보급에 들어가 오는 2013년까지 전국 시내버스의 절반인 1만4,500대(기존 저상버스 포함)를 저상버스로 교체할 방침이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현재 저상버스 보급률이 5% 수준에 불과해 휠체어와 유모차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임산부 등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면서 “저상버스 보급이 확대되면 이들의 불편이 상당 부분 해소될 뿐만 아니라 자동변속기 사용으로 차량 흔들림도 줄어들어 일반 승객들도 버스 이용이 편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