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발등에 불떨어진 中企에 웬 '교육타령'?

중기청 공지에 "긴급대책도 못내놓으면서 한가하게…" 비아냥


발등에 불떨어진 中企에 웬 '교육타령'? 중기청 공지에 "피해기업 긴급대책이 더 필요" 지적 이연선 기자 bluedash@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원 달러 환율이 1,100원 선을 넘보며 통화옵션상품 키코(KIKO)에 가입한 중소기업의 손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운데, 중소기업 전담부처인 중소기업청이 때 아닌 ‘환율 교육’을 공지하고 나서 업계의 눈총을 받고 있다. 중소기업청은 26일 환리스크에 취약한 수출 중소기업에 환율동향 및 환 헷지를 위한 외환파생상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환리스크 관리교육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중기청은 “이 사업은 수출 중소기업에 환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인지시키고, 환리스크 관리에 대한 기업들의 인식전환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최근에는 과도한 환 헷지, KIKO 등 외환파생상품 거래로 인하여 오히려 더 큰 손실을 보고 있는 중소기업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적정한 환 헷지 기법의 선택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설명에 업계는 정부가 급박한 시장상황을 읽지 못하고 있다는 반응이다. 환율이 폭등하며 KIKO 손실로 업체당 수억 원씩 날아가는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에서 긴급대책을 내놓아도 시원찮을 정부가 한가하게 교육 운운한다는 것이냐는 것이다. 정부는 이 달 초 KIKO 합동대책반을 만들어 시중은행의 불공정 거래 여부에 대한 조사에 나섰지만, 다음달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KIKO 손실이 불어나는 중소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이 전무한 상황이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금융감독원이 KIKO 판매과정에서 은행의 불완전 판매가 있었는지 현장점검을 하고 있지만, 긴급자금 투입 등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에는 나서는 부처가 없다”고 말했다. 염색업체 A사 사장은 “믿고 거래해온 은행이 판매한 KIKO에 당하는 것도 황당한데 어떤 중소기업이 이 상황에서 환 헷지 기법을 배우겠냐”며 “현실적으로 중소기업에 도움이 되는 정책을 달라”고 강조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