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담합단지' 집값 가파른 상승세

3분의1이 반년새 평균 30%이상 치솟아<br>해당시·군·구평균 상승률보다 훨씬 높아


정부가 지난해 7월부터 5차례에 걸쳐 아파트 호가를 담합한 단지를 적발했으나 정부의 발표 이후에도 상당수 담합 단지들의 실제 시세가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린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서울경제가 지난해 7월 1차 담합조사와 8월 2차 조사에서 적발된 수도권 96개 아파트 단지의 국민은행 시세 추이를 살펴본 결과 적발 단지의 3분의1 가량인 28개 단지에서 담합 발표 이후 현재까지 6~7개월간 아파트값이 30% 이상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30개 단지는 집값 상승률이 20~30% 사이였고 31개 단지에서는 집값이 10~20% 올랐다. 담합 발표 이후 집값 상승률이 한자릿수(0~10%)에 머문 곳은 고작 7개 단지에 불과했다. 또 시세 오름폭이 해당 시ㆍ군ㆍ구의 평균 아파트값 상승률을 상회한 단지는 96곳 중 82곳이나 됐다. 대부분의 담합 단지에서 실제 시세가 지역 내 다른 아파트들보다 많이 올랐다는 뜻이다. 담합 단지 중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지난해 8월 2차 담합 조사에서 적발됐던 서울 노원구 상계동의 주공7단지였다. 이 아파트 21평형은 4주간의 시세정보 제공 중단에서 해제된 지난해 9월 일반 매매가가 1억2,400만원에 불과했지만 올해 2월에는 2억원으로 61%나 상승했다. 해당 기간 노원구 전체 아파트값 상승률 평균인 36%보다 두배 가까이 높다. 경기 수원시 천천동의 일성 32평형 역시 지난해 8월 2억1,600만원에서 2월 현재 3억2,250만원으로 49% 뛰어올랐다. 1ㆍ2차 조사에서만 무려 46개 단지가 적발되는 불명예를 안았던 부천시 중ㆍ상동에서도 절반 이상의 담합 단지들이 20~30%대를 넘나드는 집값 상승률을 보여 담합의 위력(?)을 과시했다. 담합 단지라는 ‘낙인’에도 불구하고 이들 단지들이 꾸준히 강세를 보인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수도권 전역의 집값 상승세에 편승한 탓이 크다. 전반적인 집값 상승 국면에서 매수세가 크게 늘어나자 담합 호가가 점차 실거래가로 굳어져갔다는 것이다. 함영진 내집마련정보사 팀장은 “담합 발표 당시에는 터무니없는 호가라는 반응이 대다수였지만 시장이 대세 상승 국면에 접어들자 담합 단지에서도 가격에 대한 심리적 저항선이 서서히 무너졌다”며 “담합 단지들은 별다른 처벌도 받지 않은 채 담합 효과만 톡톡히 누린 꼴”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