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로봇랜드 인천·마산 조성 유력

각각 서비스용·산업용 두곳으로 나눠 추진 <br>"공동유치땐 경제성 없고 경쟁력 하락" 우려도


대규모 국책 사업인 로봇랜드를 인천과 마산 두 곳으로 나눠 조성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공동유치 카드의 경우 1차 예비타당성 조사의 비용편익지수(BC) 분석에서 둘 다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데다 선택과 집중, 정부예산 지원 등을 종합 고려할 때 분산될 경우 경쟁력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게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인천과 경남 마산 등 로봇랜드 후보지 두 곳에 국비를 지원하기 위해 실시한 비용편익(B/C) 및 정책분석 등의 예비타당성 최종 심사를 마치고 인천에는 서비스용, 마산에는 산업용 로봇랜드를 각각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 늦어도 12월초까지 공식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로봇랜드를 기능별로 나눠 두 도시에 배분해 정치적인 타협을 모색하겠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전의진 인천정보산업진흥원장은 지난 21일 인천정보산업진흥원에 대한 인천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식경제부가 로봇랜드 예비타당성 최종심사에서 인천과 마산 두 곳 모두를 긍정적으로 평가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두 도시가 모두 선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암시하기도 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7일 로봇랜드 사업 주관 부서인 지식경제부와 용역을 맡은 KDI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시와 마산시 관계자를 차례로 불러 KDI로부터 예비타당성조사 최종 점검회의를 가진 바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른 시일내에 최종 비용편익 분석결과와 이를 포함한 정책분석 결과 등을 내놓고 공문으로 인천과 마산시에 통보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인천ㆍ마산시는 정부의 지정승인 절차와 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실행계획 등의 행정절차를 거쳐 오는 2009년 로봇랜드를 착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국제공항과 가까운 청라지구에 디즈니랜드와 같은 대규모 로봇 테마파크가 조성되면 시장형성 단계에 있는 지능형 로봇산업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초기 시장진출을 유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전신인 당시 산업자원부는 지난해 11월 로봇랜드 사업계획을 제출한 전국 10개 시ㆍ도 가운데 인천과 경남(마산) 두 곳을 예비타당성 조사 의뢰대상 사업자로 선정, 발표한 바 있다. 예비 사업자중 인천은 글로벌화 전략과 사업성, 재정조달 측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마산은 지역 로봇산업의 중심지로서의 입지여건, 사업계획의 적정성, 사업추진전략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편 인천은 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민자 6,654억원 등 7,854억원의 자금을 들여 79만㎡ 규모의 로봇랜드를 만들 계획이며 경남은 마산시 구산면 구산 해양관광단지내에 3,400억원의 민자를 포함한 7,000억원을 투입, 99만㎡의 로봇랜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제시한 상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