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대단지 입주 아파트 '물량쇼크'… 전세 출렁

파주.용인.대전 등 대단지 입주 쏟아져 전셋값 약세<br>매매 안돼 전세로 돌린 탓… 일부 역전세난도 심화

수도권.지방의 대단지 입주 아파트 전세 시장이 '물량 쇼크'로 출렁거리고 있다. 전세 물량은 쏟아지는 반면 수요는 부족해 시간이 갈수록 임대물건이 쌓이고, 가격도 하락세다. 이 때문에 해당 입주 아파트는 물론 인근의 기존 아파트 전셋값마저 약세로 돌아서 전셋집을 제 때 빼지 못하는 '역전세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입주를 시작한 경기도 파주 교하지구 동문굿모닝힐은 입주 초기에 7천만원이던 32평형 전셋값이 5천만-6천만원 선으로 떨어졌다. 총 3천3가구가 동시에 입주하면서 한 달여만에 전셋값이 1천만-2천만원 빠진 것이다. 40평형대는 9천만-1억원에 전세가 나오지만 소화가 되지 않는다. 이 아파트는입주 한 달이 지난 현재 입주율이 20%선에 그치고 있다. 파주 교하LG공인 관계자는 "싼 전세만 간간이 거래될 뿐 임대수요가 부족해 물건이 적체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세 물량이 넘치는 것은 분양권이 안팔리자 집주인들이 '울며겨자먹기'로 전세로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32평형 분양권의 경우 분양가보다 500만-1천만원 싼 '마이너스 프리미엄'의 급매물도 적지 않다. 금촌동 그린공인 윤훈덕 사장은 "전체 아파트의 70%가 매매나 임대로 나와 있다는 것은 투자수요가 많았다는 증거"라며 "투기지역내 대출기준이 강화됐고, 살던 집이 안팔려 입주를 못한 채 고통받는 사람이 많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금촌동 일대 아파트 전셋값도 교하지구 입주 시작후 500만-1천만원정도 하락했다. 오는 2월 말 입주가 시작되는 용인시 동백지구도 서서히 전세물량이 부담이 되고 있다. 한라비발디 32평형 전셋값은 8천만원선으로 지난해 말 9천500만-1억원에비해 1천만원 이상 하락했다. 행복공인 구봉회 사장은 "판교 기대감으로 최근 분양권 매매값이 강세도 돌아서자 당장 입주를 못할 사람들이 집을 파는 대신 전세로 내놓고 있다"며 "30평형대 전세는 6천만-7천만원으로 싼 것만 실제 계약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동백지구 입주가 가까워오면서 윗동네인 용인 죽전지구 전셋값도 약보합세로 돌아섰다. 특히 2004년 6-7월 입주했던 죽전지구의 세입자들은 2년 만기가 다가오자 동백지구로 `이탈'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금풍공인 주종대 사장은 "죽전지구 입주 초기에 들어온 세입자들은 32,33평형기준 6천만-7천만원에 전세를 들었는데 지금은 1억4천만-1억8천만원으로 2-3배나 뛰었다"며 "만기가 임박한 사람들은 동백지구의 싼 전세를 찾아 떠나려고 한다"고 말했다. 다음 달 4천여가구가 입주하는 대전시 대덕테크노밸리도 마찬가지다. 한화꿈에그린.신동아 파밀리에 등 30평형대 전셋값은 현재 6천500만-7천만원 선으로 이달 초7천500만원에서 500만-1천만원 빠졌다. e삼성공인 관계자는 "분양 당시 투자수요가 많은 편이었고, 양도세 등 세금 때문에 팔지를 못해 전세 물량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테크노밸리 입주 여파로 인근 송강동 등지는 역전세난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해말 9천만원에 거래되던 송강동 그린아파트 30평형대 전셋값은 현재 7천만원으로 2천만원 떨어졌지만 거래가 끊겼다. 송강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새 아파트 입주 여파로 인근 지역 아파트의 집주인은 떨어진 전세금 차액을 돌려주지 못해, 세입자들은 제 때 이사를 가지 못해 고통받고 있다"며 "다음 달 대덕테크노밸리의 입주가 본격화되면 당분간 역전세난은 더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