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용산 미군기지 이전부지 3곳, 용적률 800% 고밀도 상업지로


17만9,000여㎡에 달하는 서울 용산 미군기지 이전부지 3곳이 최고 800%의 용적률의 고밀도 상업지역으로 개발된다. 이와 함께 용산 미군기지 이전부지 내에는 생태축ㆍ문화유산 등 다양한 주제의 6개 대규모 생태공원도 조성된다. 국토해양부는 10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주민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용산공원정비구역 지정 및 종합기본계획안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3조4,000억원에 달하는 용산 미군기지 이전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복합 고밀개발이 예정돼 있는 유엔사ㆍ수송산ㆍ캠프킴 등 용산공원 주변 산재부지 총 17만9,144㎡를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당초 국토부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초안에서 유엔사(5만1,731㎡)와 수송단(7만6,178㎡) 부지의 기준용적률을 600%로 제시했었다. 이번 변경안으로 이미 지난 9월 상업지역으로 용도 변경이 결정된 캠프킴(4만8,400㎡) 부지를 포함한 용산 기지 주변 3개 부지에는 최고 50층, 평균 40층의 초고층 주거ㆍ상업시설 건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또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조성될 용산공원의 구체적인 세부 구성 계획도 제시됐다. 242만7,000㎡에 달하는 용산공원 내에는 생태축 공원, 문화유산 공원, 관문공원, 세계문화공원, U-Eco 놀이공원, 생산 공원 등 총 6개의 거점 공원이 조성된다. 사업지 인근 신용산ㆍ삼각지ㆍ이촌역 등 주요 지하철 환승역과 신설 예정인 신분당선 동빙고역 지하에는 쇼핑ㆍ오락 등의 기능을 갖춘 복합 문화시설도 들어선다. 국토부는 전문가와 주민 의견 수렴과 서울시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이르면 6월말 계획안을 확정, 고시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오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1단계 개발을 통해 용산 미군기지 이전부지에 임시공원을 개장한 후 2018년부터 본격 개발을 위한 2단계 사업에 들어가 오는 2025년까지 남산~용산공원~한강을 잇는 광역 녹지축을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