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고속철 사고 언론 보도 원천봉쇄

국내외서 비난 여론 확산되자 금지 지시 하달<br>일부 언론은 특집기사 게재 강행 등 거센 반발

원저우 고속철 참사에 대한 중국 당국의 대응 방식을 놓고 국내외 비난 여론이 확산되자 중국 공산당이 지난달 29일 신문과 방송, 인터넷 매체 등 중국 국내 언론에 대해 고속철 사고 관련 보도를 일체 금지하는 지시문을 긴급 하달했다. 지난달 28일 원자바오 총리가 사고현장을 방문, 공개적이고 투명한 사고 조사를 통해 책임자를 처벌하겠다고 천명한지 불과 하루 만이다. 사회적 비난 여론 조성을 막기 위한 이번 조치에 일부 신문은 사고 원인 의혹과 고속철 건설 부실을 조명하는 특집 기사 게재를 강행하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명보 등 홍콩 언론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는 29일 밤 9시께 대언론 공문을 통해 "7월 23일 중대한 철도사고 이후 외국과 국내 언론매체들의 의견이 점차 복잡해 지고 있어 신문, 잡지, 인터넷 매체들을 포함한 모든 국내 언론 매체들은 사건 보도에 침착해야 한다"며 "관계 당국이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긍정적인 뉴스나 정보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보도나 논평도 발행해선 안 된다"고 지시했다. 이는 중국 언론매체들이 원저우 고속열차 추락참사 7일째를 맞아 특집판을 발행하기 직전에 내려졌다. 이번 조치로 베이징 신경보(新京報)가 사전에 준비했던 9개면의 특집기사를 내보내지 못했고 경제신문인 21세기 경제보(經濟報)도 12면의 특집기사를 들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공산당의 언론통제에 대해 현지 기자들과 편집자들은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 등에 발행되지 못한 기사를 올리는 등 항의했다. 광둥성의 한 주요 일간지 기자는 "독재자들이 언론 억압을 통해 사고에 대한 인민의 분노를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이번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고 일갈했다. 중국 유력 경제주간지인 경제관찰보는 보도통제에도 불구하고 9개 면의 특집 기사를 그대로 내보냈다. 경제관찰보는 중국 당국이 사고 원인이라고 밝힌 신호등 시스템이 중국 상당수 고속철 노선에 그대로 쓰이고 있다고 밝히는 등 철도부의 부실 실태를 밝혀다. 홍콩기자협회도 30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중국 공산당의 보도통제에도 불구하고 홍콩의 언론매체들은 원저우 열차 참사에 대한 진실을 보도할 것임을 다짐했다. 한편 중국 당국은 현재 사고 유가족과의 배상금 협상을 시도하고 있지만 일부 유가족들은 여전히 사고 진상 규명이 먼저라며 배상금 협상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당초 제시한 희생자 1인당 50만위안의 배상금에 유족들이 거세게 반발하자 91만5,000위안으로 상향조정안을 제시하고 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현재 15명의 유가족이 정부안에 합의한 상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