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경 펀드닥터] 성장형 수익률 0.73%… 지수 앞질러


중국 증시 폭락 여파로 글로벌 증시가 흔들리면서 해외펀드는 하락세를 보였지만 국내 주식형 펀드는 소폭 상승하며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펀드평가사 제로인(www.funddoctor.co.kr)이 9일 아침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주식성장형(약관상 주식투자상한 70%초과)은 한 주간 0.73%의 수익을 내며 코스피 지수 상승폭(0.46%)을 소폭 웃돌았다. 같은 기간 안성형(주식투자비중 41~70%)과 안정형(투자비중10~40%)은 각각 0.25%, 0.2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외에 주로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인덱스 펀드는 0.39%의 성과를 보였다. 채권형 펀드는 주간 0.14%(연 7.4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글로벌 증시하락과 콜금리 동결 발표 등 국내외 호조로 채권 가격이 강세를 나타내면서 연 환산 7%가 넘는 우수한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세부 유형별로 살펴보면 국공채형은 0.13%(연 6.66%), 공사채형은 0.15%(연 7.57%)로 조사됐다. 설정원본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이 1개월이 넘는 194개 성장형 펀드 가운데 126개 펀드가 한 주간 코스피지수 상승률 0.46%를 넘는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중형주와 소형주 코스닥 지수가 직전주 대비 0.51%, 1.65%, 1.79% 상승, 코스피지수 상승률보다 우위를 보임에 따라 중소형주 투자비중이 높은 펀드의 성과가 향상됐다. 동양투신운용의 ‘동양중소형고배당주식1’이 2.36%로 가장 성과가 좋았다. 이 펀드는 소형주 투자비중이 89.1%에 달한다. 또 농협CA운용의 ‘농협CA아이사랑적립주식1’도 2.11%의 수익률로 그 다음을 이었는데, 이 상품은 코스닥 종목 비중이 20.0%, 중소형주 비중은 54.25%다. 또 미래에셋운용의 ‘미래에셋솔로몬나이스주식형1’도 1.29%의 수익률로 상위권에 포함됐다. 반면 전 주 월간 성과 순위에서 2위를 기록했던 한국운용의 ‘한국삼성그룹주식형-자(A)’와 ‘한국부자아빠삼성그룹주식1’은 30위, 35위권으로 하락했다. 설정원본액 100억원 이상, 운용기간이 1개월이 넘는 53개 채권펀드 펀드 중 51개 펀드의 연환산 수익률이 콜금리 수준인 4.5%를 넘는 양호한 성과를 보였다. 전주에 이어 금주에도 ‘Tomorrow장기우량채권K-1ClassA’가 2주 연속 월간 성과 1위를 차지했다. 이 펀드가 보유하고 있는 채권의 평균 듀레이션은 2.97년으로 금리 하락에 따른 시세차익이 커 주간 0.21%(연 10.79%)의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어 ‘아이동양테일러채권3C-1’과 ‘아이러브평생직장채권2ClassC2’ 등 전주 상위권을 차지했던 펀드들이 금주에도 상위권을 유지했다. /이수진 제로인 펀드애널리스트( www.funddoctor.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