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깜짝 시장 개입. 82엔 1차 지지선

“새 발의 피”..엔고 흐름 되돌리기 보다는 속도 조절. 일본 정부가 시장의 예상을 뒤집고 15일 전격적으로 엔고 저지를 위해 시장 개입에 나선 것은 가파른 엔고 상승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절박함이 묻어있다. 이번 시장 개입은 6년 6개월 만에 이뤄진 것으로 간 나오토 (菅直人) 내각이 그 동안 외환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데 소극적 입장을 취했던 것에 비춰보면 다소 의외로 볼 수 있다. 그 만큼 사정이 다급했다는 의미다. 특히 간 총리의 민주당 대표 경선 승리발표 직후 순식간에 엔화 가치가 급등하고 간 내각이 엔고 방어에 소극적이라는 관측이 확산되는 등 환율 정책 전반이 불신을 받게 되자 개입 결심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날 일본 정부의 조치는 미국 등 주요국과의 공조 개입이 아닌 단독 개입이었던 만큼 단기 효과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과거 2003년과 2004년 단독 개입의 전례를 볼 때 일본 정부의 독자 행동에 따른 환율 안정화 효과는 미미했던 데다 앞으로 엔고 저지를 위해 공조가 절실한 미국으로부터 협력을 이끌어낼 가능성도 매우 낮기 때문이다. 미국 오마바 행정부는 연초 수출을 향후 5년간 2배로 늘리겠다고 선포하면서 약 달러 추세를 방관해 왔다. 이에 따라 외환 전문가들은 이번 개입이 엔고 흐름을 바꾸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엔고 상승속도 조절, 즉 미세조정(스무딩오퍼레이션)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그 동안 일본 정부의 엔고 1차 방어선이 달러당 82엔 대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일본 정부도 이점을 인정했다. 센고쿠 요시토(仙谷由人) 관방장관은 긴급 기자 회견에서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재무장관이 엔ㆍ달러 환율 저지선을 82엔으로 판단했다”며 “전후 최악의 경기침체로부터 수출에 의지해 회복 중인 경제를 지키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엔화 가치가 급락하자 일본 증시에서는 수출주들이 급등하면서 닛케이지수가 장중 한때 3% 이상 상승하기도 했다. 그러나 1차 방어선인 82엔대 붕괴는 시간문제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일본 정부는 엔고 행진이 계속되면 앞으로 추가 실탄을 투입할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글로벌 약 달러 흐름을 일본이 단독으로 저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 일본이 과거 단독 개입했던 2004년 1~3월 동안 무려 14조 엔을 투입했지만엔고 속도만 줄였을 뿐 엔고 흐름자체를 막지는 못했다. 일본이 일단 개입에 나선 이상 추가 실탄투입은 불기피할 것으로 보인다. 노다 재무 장관도 “앞으로도 외환 시장 동향을 주시하면서 필요할 경우 개입 등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개입 규모가 크지 않다는 점도 이번 조치로 인해 엔고가 저지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반감시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조치에 따른 효과는 단기간에 그칠 것”이라며 “일본이 24억~35억 달러 정도를 투입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엔ㆍ달러화 거래 규모가 5,860억 달러인 점을 고려하면 ‘새발의 피’”라고 평가했다. 이날 투입액은 하루 거래량의 0.4~0.5%에 불과하다. 이날 노다 재무 장관이 기자 회견에서 ‘주요국과의 긴밀한 협조’를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재무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등은 일본 정부의 환시 개입에 대해 ‘노코멘트’로 일관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노린주킨 젠쿄렌 자산운용의 나카무라 카즈야(中村一也) 차장은 “개입 시점은 괜찮았으나 효과 지속 여부는 의문”이라며 “엔화 강세의 근본적 이유가 미국 경기의 불확실성과 저금리 장기화이기 때문에 엔ㆍ달러 환율의 큰 흐름을 바꾸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