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과부 "학생수 급감따라 내년 중등교사 임용 20% 축소"

전국 500명 감소…서울 국어교사 작년比 85% 줄어

내년도 중등교사 임용이 25% 정도 축소될 예정이다. 이는 중등교사 정원 대규모 축소가 학생수의 급감에 따른 조치라는 게 교육당국의 설명이지만 수험생들은 급격한 교육과정 개편 탓이라며 술렁거리고 있다. 24일 교육과학기술부와 전국 시·도교육청이 최근 확정해 발표한 `2011학년도 중등교사 임용 후보자 모집정원'에 따르면 내년도 일반정원(교과, 영양, 특수교사 등 포함)은 총 2,244명으로 확정됐다. 교과부 관계자는 "(특수교사, 영양교사 등을 제외한) 교과담당 교사만 따져볼 때 정원은 2,040명 선으로 작년보다 500명가량 줄었다"고 설명했다. 인천 등 정원이 일부 증가한 곳도 있지만 대부분 시도에서 모집정원이 줄었고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정원이 특히 크게 감소했다. 서울지역은 작년 375명에서 214명으로, 경기도는 작년 912명에서 348명으로 564명이나 감소했다. 과목별로 보면 국어과목 정원이 많이 축소됐는데 서울은 올해 9명으로 작년(61명)과 비교할 때 15% 수준에 불과했다. 전국 16개 시도의 모집정원 역시 276명에 머물러 2000년대 들어 가장 적은 규모로 기록됐던 2006년(444명)과 비교해도 130명 넘게 줄었다. 역사, 사회, 도덕·윤리과목 교사는 아예 임용하지 않는 시·도교육청도 적지 않다. 서울은 작년에 각각 15명, 9명, 7명, 6명을 선발했던 역사, 공통사회, 일반사회, 도덕·윤리교사를 올해 한 명도 뽑지 않으며 이런 현상은 인천, 전남, 울산도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수험생들은 올해 시험의 경쟁률이 치솟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임용시험 경쟁률은 거의 매년 상승세를 이어온 데다 2009년 정원 축소 여파로 서울 경쟁률이 2008년 26대 1에서 43.8대 1로 크게 높아졌듯이 올해 경쟁률도 수직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다. 임용정원이 대폭 감소한 배경에 대해 교육당국은 "저출산에 따른 학생 수 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수험생들은 학생 수 감소보다는 `2009개정교육과정' 등 급격한 교육과정 개편이 더욱 크게 작용했다고 주장한다. 새 교육과정의 여파로 비입시 과목의 비중이 줄면서 해당 교사들이 영어나 수학 등 진입장벽이 높은 교과보다는 국어, 사회, 역사교과 등으로 대거 이동해 신규 교사 임용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수험생들은 유독 영어, 수학교사 정원만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점을 근거로 들었다. 임용시험을 준비해온 권모(여)씨는 "작년에도 정원이 줄어 수험생들 동요가 심했는데 올해는 심각하다"며 "임용시험 카페회원들 사이에서는 집단대응 등의 대책을 논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