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세 굳히기 나섰다

국회 상임위서 적극 발언으로 대권주자 실력 과시<br>친박계는 소장파·친이계 겨냥 '월박' 손짓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친박계가 '대권고지'를 향한 세(勢) 불리기를 가속화하고 있다. '침묵의 정치인'인 박 전 대표는 대권주자로서 '실력'을 과시하기 위해 국회 상임위에서 적극적인 발언을 하고 있고 친박계는 당내 소장파와 친이명박계를 향해 '월박(越朴ㆍ친박계로의 계파이동)'을 적극 유도하고 있다. 박 전 대표가 요즘 가장 활발하게 입을 여는 장소는 국회 기획재정위 회의장이다. 지난 13일 기재위 회의에서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정규직의 절반에 불과하고 5인 미만 영세사업장은 25%밖에 안 된다"며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영세 사업주 및 근로자의 사회보험료 부담을 소득에 따라 최고 절반까지 차등 경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2008년 보건복지위 소속일 때부터 4대 보험의 사각지대와 복지급여 중복수급 등을 지적해왔으며 기재위에서 한층 더 발전시켜 고용과 복지의 선순환을 꾀하겠다는 생각이라는 게 측근들의 전언이다. 측근들은 그 밖에 대학 등록금 부담 완화,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진로 설정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상임위를 통해 자연스럽게 이와 관련한 정책구상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제정책에 자신감이 붙었다는 증거는 그의 상임위 발언태도에서도 드러난다. 그동안 박 전 대표는 기재위에서 준비한 내용만 말하고 정부 주장에 맞서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 때문에 경제에 관한 경력이 없는 그가 아직 내공이 덜 쌓인 게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 하지만 15일 기재위 전체회의에서 그는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와 금리인상 속도를 놓고 10여분간 공방을 벌였다. 박 전대표는 "금리정상화 타이밍을 늦추지 말았어야 하는데 한은의 뒤늦은 금리정책이 가계부채 문제를 악화시켰다는 얘기도 있다"고 지적했고 김 총재는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지난 1년 동안 다섯 번의 금리정상화 노력을 했는데 국제적인 시각에서 그렇게 늦지 않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박 전 대표는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이 지난해 초부터 가계부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방향으로 금융 시스템을 적극 손질했다면 이런 사태는 피할 수 있었다고 지적한다"고 말했다. 그는 13일 4대 보험 경감을 주장할 때도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예산부족을 지적하자 "설계를 잘하면 (오히려) 보험재정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며 "정부에 의지만 있다면 실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재반박했다. 한편 친박근혜계의 외연확대 움직임도 두드러진다. 친박계 의원이 중심인 연구단체 '여의포럼'은 출범 3년을 맞아 연 토론회에 친이명박계와 소장파와 함께한다. '한나라당 재집권'을 주제로 한 토론회에 친이계 김영우 의원과 소장파로 정책위 부의장을 맡고 있는 김성식 의원을 토론자로 초청한 것. 김영우 의원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초청을 받고 처음에는 사실 부담스럽고 고민도 됐다"면서 "국민들은 당청을 한 묶음으로 보기 때문에 이명박 정부가 성공해야 차기 총선ㆍ대선에서 승리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의포럼 간사인 유기준 의원은 "김영우 의원은 친이계지만 같은 상임위인데다 합리적이어서 이야기가 잘 통할 것 같아 섭외했다"면서 "친이ㆍ친박ㆍ소장파가 한데 모여 토론해보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소장파인 정두언 의원은 올해 초 여의포럼에 가입해 전세난 등을 주제로 토론을 벌이기도 했다. 친박계의 한 의원은 "갈수록 친박계에 관심을 갖는 의원들의 늘어나고 있으며 우리 역시 다양한 인물과 함께하는 것을 거부하지 않는다"고 귀띔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