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가전품 특소세 폐지 추진/TV·세탁기등 보급률 1백% “필수품”

◎피아노·승용차도 검토/통산부,재경원과 협의정부는 가전제품을 비롯한 내구성 소비재의 특별소비세를 인하 또는 폐지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27일 통상산업부에 따르면 내구성 소비재에 대해 특별소비세와 부가가치세를 합한 소비세율이 부과돼 세금부담이 경쟁국에 비해 높고 관련세제가 세수확보라는 목적에 치중 운영돼 해당산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어 개선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에 따라 컬러TV와 냉장고 등 가전제품의 경우 보급률이 일부품목은 이미 1백%를 넘어선 생활필수품인데도 15∼20%의 특별소비세가 부과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고 이의 인하 및 폐지를 재정경제원과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가전제품 보급률은 컬러TV의 경우 지난 77년 1.7%에서 지난해 1백54%, VCR는 같은 기간에 1.0%에서 86%, 냉장고는 1.3%에서 1백17%, 세탁기는 1.0%에서 95%, 전자레인지는 0.1%에서 62%로 각각 높아졌다. 통산부는 다른 산업의 경우 보석이나 귀금속은 1백만원 이하, 자동차는 배기량 8백㏄이하는 각각 비과세되는데도 가전제품만 세율이 높아 조세형평에 맞지 않고 요즘 가전산업이 내수침체와 후발개도국의 추격을 받고 있는 만큼 특소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가전제품 이외의 내구성 소비재인 피아노는 10%, 사진기와 시계·고급가구등은 20%, 승용차는 배기량에 따라 10∼20%의 특소세가 각각 부과돼 관련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 이의 개선을 추진키로 했다. 통산부는 이와 관련, 현재 금융과 세제·인력·입지·물류·기업구조등 6개 분야별로 추진하고 있는 구조개혁 과제 작업반에 세제 전문가 및 업계 관계자들을 포함시켜 특소세제 개편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최창환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